적의를 담아 애정을 고백하는 법
무라타 사야카 지음, 최고은 옮김 / 살림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단, 무라타 사야카 라는 일본 저자는 처음 본다. 매니아 층의 독자들이 있는 모양이다. 일단 난 일본소설에 대한 어느 정도의 애정이 있으니 한 번 읽어보기로 했다. 참, 그리고 또 중요했던 건 제목이었다. [적의를 담아 애정을 고백하는 법] 이라니 뭔가 멋져 보였다.

성장소설이라고 하기엔 초, 중학생이 읽으면 안 될 것 같은 이 책은 내가 예상한 내용이 보기 좋기 빗나갔다. 처음에 주인공과 친구들의 초등학생 시절이 나오고 뭔가 풋풋한 첫사랑에 대한 것인가? 이런 생각을 했는데 풋풋함을 넘어서는 성적욕망에 대한 내용이 나오면서 분위기가 급 반전된다.

대체로 여자는 남자보다 복잡미묘하다고 하다. 특히, 생각하는 것이 남자에 비해 복잡하다. 책을 읽으면 초, 중학교 다니는 여자아이들의 그룹핑이 사회에서 보여지는 권력의 계층화를 많이 닮았다. 이 때에는 가장 구분하기 쉬운 게 외모가 아닐까 싶다. 외모는 눈에 딱 보이기 때문에 예쁘다와 못생겼다가 순식간에 결정된다. 주인공은 애석하게도 높은 그룹에 들지 못한다. 외모에 대한 놀림도 받는다.

초등학교 때 같이 놀았던 친구가 중학교에 가서 최하위그룹으로 들어가게 되자 주인공은 선뜻 인사조차 건내기 어려워진다. 아는 척을 했다가는 자신도 그 아이처럼 그룹이 떠 떨어질 수 있으니. 마음이 아픈 부분이었다.

신기하게도 그룹은 누가 정해주는 것이 아니었다. 암묵적으로 정해지는 것이었다. 새로 전학을 오면 자연스럽게 자신과 어울리는 그룹으로 들어가게 된다.

주인공은 서예학원에서 알게된 높은 그룹에 있는 남자아이와 친해지게 되고, 좋아하게 된다. 하지만 주인공은 그 남자아이가 본인보다 높은 그룹에 있기 때문에 사귈 수 없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런 것에 익숙하지 않은 남자아이는, 학교 내에서 그룹이 존재한다는 것을 모른다. 주인공은 높은 그룹에 있는 아이들은 이런 걸 신경쓰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알지 못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항상 인기가 많고, 항상 중심에 있으니까

남자아이는 아주 올바르다. 잘 알지 못해 올바르다. 어리숙한 부분도 있고. 이런 캐릭터를 주인공과 비교하게 만들면서 내용이 어느쪽으로 흘러갈지에 대해서 궁금하게 만든다.

주인공은 남자아이에게 성적인 욕망을 풀기 시작한다. 어쩌면 학교에서 부정적인 경험들을 가장 높은 그룹에 있는 남자아이에게 풀면서 무언가가 해소가 되었을까? 아니면 정말 좋아했던 것이었을까? 어쨌든 결말은 직접 읽어보시길

저자가 말하고 싶은 건 어쩌면 우리도 그럴지 모른다는거다. 어딘가에는 속해 있지만 부당하다고 생각하지만 자신의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내 힘으로는 안 될 것 같아서, 저 사람은 우리가 사는 세계와 다른 세계를 사는 사람이라서, 난 저기에 낄 수 없을 것 같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