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에서 철학 한 잔 - 신나는 직장 생활을 위한 42가지 철학 처방전
함께성장인문학연구원 지음 / 달의뒤편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42인의 철학자가 보내는 42개의 편지. 하나의 사례를 소개하고 하나의 철학자와 철학의 내용을 매칭시켜 사례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직장을 다니면서 누군가 느꼈을 법한 사례를 적용하여 '아, 나도 저런 적이 있었는데.'  '아, 나도 저런 것 때문에 힘들었었는데.' 이렇게 생각하게 만들어 흥미를 만들어 내고, 철학을 대입시켜 어떻게 해결해야하는지에 대해 따뜻하게 알려주고자 한다. 읽으면서 어떻게 이렇게 다양한 사례에 대해서 철학의 내용을 찰떡같이 대입할 수 있지? 라고 생각을 했다. 8명의 저자가 이 책을 쓰기 위해 엄청나게 읽고, 엄청나게 쓰고, 엄청나게 확인하는 노력을 했구나, 라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팀이 너무 바쁜데, 퇴근시간에 아내의 생일이라고 일찍 들어가야 한다고 말하는 직원이 이해되지 않는 또는 출근 시간에 딱 맞춰 출근하는 젊은 직원을 보고 일찍 와서 일할 준비를 하라고 했다가 월급 더 주는 것도 아닌데 내가 왜 일찍 와서 준비를 해야하냐고 말하는, 최근에 직장내에서 많이 생길 수 있는 상황이다. 위에서는 혀를 차고, 아래에서는 꼰대라고 말하는. 이런 경우 토마슨 쿤은 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과 다른 사람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회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도 바뀔 수 있음을 적응하는 것이 중요함을 이야기한다. 또한 존 스튜어트 밀은 우리의 자유를 서로 존중하려면 내 자유가 중요한 만큼 다른 사람의 자유도 중요하다고 말한다.


직장인들의 뫼비우스 띠는 '일을 하고 싶다-일이 힘들다-그만두고 싶다-생활은 어떻게-다시 열심히 다니자-일이 힘들다' 이런 식이다. 어떤 사람은 월급을 받아도 마이너스 인생을 살고, 어떤 사람은 가족의 소비를 감당하지 못하고 2job을 생각하기도 한다. 일을 하는 건 돈 때문이라는 걸 인정하면서도 인정하기 싫다. 이런 상황은 어떻게 철학적으로 생각할 수 있을까? 대부분의 철학자는 소유와 무소유 그리고 일을 하는 이유에 대해서 가치를 부여하고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항상 고민하라고 말한다. 나만 힘든 게 아니라 모두가 힘들다는 것이고, 내가 왜 이 일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계속 탐구하고 의미를 부여하라는 뜻인 것 같다.


직장생활이 힘들어 그만두고 사람들의 부러움을 한 몸에 받고 세계여행을 떠난 사람은 예상보다 일찍 귀국해 새로운 직장에 들어갈 계획을 가지고 있다. 여행이 일상이 되었기 때문에 더 이상 즐거울 수 없다는 이유를 말하며. 직장생활을 할 때에는 쉬고 싶고, 여행가고 싶고, 그만두고 싶은데 막상 그만두게 되면 여러가지 난관에 봉착하게 된다. 이렇듯 어느 한 곳에서도 행복할 수 없다면 내가 있는 그 곳에서 스스로 행복을 찾을 수 밖에.


책을 받으면 스타벅스에서 꼭 읽어봐야겠다 했는데, 현실은 쉽지가 않았다. 직장생활이 힘들거나, 내 삶에 대한 확신이 잘 들지 않는다면 이 책을 추천한다. 책을 읽고 나면 확실히 가벼워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