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에 있는 서점
개브리얼 제빈 지음, 엄일녀 옮김 / 문학동네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년 전에 [어느 날 서점의 주인이 되었습니다]라는 책을 읽었더랬다.]

서점의 주인이 되는 로망을 갖고 있는데 사실 책의 내용은 오히려 워킹맘의 고충이었다.

[섬에 있는 서점]을 읽고나니 다시 서점의 주인이 되고 싶다라는 욕망이 솟아오른다.

아주 작은 섬.

아마 윤식당시즌1의 장소였던 그 섬 정도의 크기가 아니었을까?

공동체의 문화가 살아있는 곳.

마을 주민들이 서로의 삶을 소소히 공유하는 곳, 어릴 때부터 같이 자라고 살아온 곳.

그 작은 동네가 어쩌면 내가 살고 싶어하는 곳일지도 모르겠다.

 

생각해보면 사람들이 휴양을 와서 책을 읽기 위해서 서점에서 책을 구입한다는 설정자체가 억지일지도 모른다.

나도 여행을 자주 하지만 읽고 싶은 책이 있으면 미리 가지고 가거나 아니면 터미널이나 공항에 있는 서점(그래서 터미널이나 공항에는 서점이 꼭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에서 슬쩍 둘러보고는 한 두권씩 구입하고는 했지, 여행지에 가서 서점에 갈 생각은 전혀하지 않았다.

어쨌던 인구 몇천명밖에 되지 않는 작은 섬에서 서점을 운영한다는 생각은 마음을 행복하게 한다.

서점은 마을의 문화의 중심지가 되어야 한다.(요즘은 도서관이 그 역할을 하려는 움직임이 많다)

선생님은 책을 선정해서 같이 읽고 토론하고 에세이를 숙제로 내어주고, 어른들도 관심사가 같은 분야를 함께 읽고 이야기를 나눈다.

책방의 주인은 사람들에게 각자에게 맞는 책을 골라주고 이야기를 나눈다.

노팅힐의 휴 그랜트도 그랬을까?

 

오랜만에 가슴이 따뜻해지는 소설을 읽었다.

소설의 내용은 이러하다.

앨리스라는 섬에 있는 작은 서점. 서점의 주인은 아내를 잃고서 실의에 빠져 서점의 운영은 등한시하며 살아간다.

그에게 닥쳐온 사건. 누군가가 아이를 서점에 버려두고 도망을 가버렸다.

여차의 이유로 그는 아이를 키우게 된다. 아이를 키우며 출판사 영업사원과 사랑을 하게 되고

마을 경찰관과 친구가 되며 마을 주민들과도 다시 가까워진다.

그 아이가 자라서 대학생이 될 때까지의 여러 삶의 모습이 이 책의 전체 내용이다.

무용학원을 다녀야 하고 초등학생이 되고 중학생이 되어서는 작문숙제에 힘들어하다 그 숙제로 대회에서 상도 받고 아주 잘 자라준다.

그리고 서점의 주인이었던 주인공은 병에도 걸리고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서점의 운명은 어떻게 될까?

이 이상은 스포일러이므로 여기까지만 쓰겠다.

 

다 읽고 나서 그동안 소설을 등한시했다는 후회를 해본다.

왜냐구요? 테멀리안이 사라진 사건이 이후에 큰 복선이 되었는데 책을 읽는 내내 한번도 그 사건에 주목을 하지 않았다.

소설을 멀리하다보니 복선과 암시가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전혀해보지 않았다는 것이지.

이제 서점의 주인이 되고 싶다는 생각을 마냥 생각에 그치지 않고 실행에 옮기고 싶으나 사실 한국의 현실에서 아일랜드 북스처럼 서점을 운영했다가는 망하기 딱 좋다.

학생들의 참고서와 문제집을 대량으로 들여와서 팔아야 서점의 운영이 가능해질테지.

건물주가 되어 임대료 걱정을 전혀하지 않는다면 모를까말이다.

로또를 사야하는가보다.

~서점이라기보다는 북카페를 운영하기 위한 기본원칙은 세웠다.

음료는 핸드드립 커피 한 종류만 팔 것이다.

수험서를 펼쳐놓고 공부를 하는 손님은 받지 않을 것이다.

아이들도 출입이 불가능한 No Kids를 할 것이다.

입 닥치고 책만 읽으라고 수다금지도 시킬 것이다.

토론을 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해 작은 세미나실은 따로 하나 만들어 둘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계획을 세우고 보니 손님을 받지 않겠다는 말과 다름이 없네.

그래도 할 수 없다. ? 내가 건물주니까! 하하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