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삼관 매혈기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는 지인으로부터 위화라는 중국작가가 글을 꽤 재미나게 쓴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런 와중에 하정우씨가 허삼관매혈기라는 영화를 만들고 주연을 했다는데 그 허삼관매혈기가 위화의 작품이라는 거다.

사실 허삼관매혈기는 몇 년전에 이야기를 들었고 베스트셀러였다는 것도 알고 있었지만 딱히 읽고 싶지는 않았었다.

무슨 내용인지는 몰랐는데 왠지 제목에서 “혈의 누”의 냄새가 나서 그런 이야기가 아닐까 생각하고는 기억에서 멀어져갔다.

그러다 위화라는 이름과 함께 허삼관매혈기가 나에게로 왔고, 이야기는 생각보다는 훨씬 더 재미있었다.

중국의 생활문화와 문화혁명에 대한 이해가 있었으면 조금 더 깊이있게 읽을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해본다.

이야기의 줄거리는 대충 이렇다.

허삼관이라는 그냥 그런저런 딱히 뭐 내세울 것 없는 남자가 있다.

마음에 드는 여자를 만났고 피를 팔면 꽤 큰돈을 만질 수 있다는 이야기에 피를 판 돈으로 그 여자와 결혼을 한다.

살다가 큰 돈이 필요하게 되면 가끔 피를 팔아가며 그럭저럭 살아간다.

그냥저냥 아들 셋 낳고 살아가다 큰 아들이 자신의 아들이 아닌 것을 알게 된다.

장남의 친부가 누구인지도 알지만 친부는 자신의 아들임을 거부하고 자신이 키우게 된다.

문화혁명의 와중에 큰 아들이 큰 병에 걸리게 되고 병원비를 마련하기 위해 피를 팔아가며 병원을 찾아간다.

헌혈을 해보신 분들은 알고 있겠지만 한번 헌혈을 하면 2달인가 꽤 오랜 기간동안 헌혈을 할 수가 없다.

하지만 허삼관은 며칠사이에 수차례 병원을 옮겨가며 피를 팔고 자신의 아들이 아닌 아들의 치료를 도운다.

먼 시간이 지난 후 허삼관은 옛 생각에 사로잡혀 피를 팔아보고자 하나 이미 늙어버린 자신의 피는 더 이상 필요없다는 말에 인생의 무상함을 느끼나 자신의 아내가 자신의 삶에 의미를 부여해주는 것에 행복을 느낀다.

중국의 문화가 한 동네에서 친자를 놓고 왈가왈부하고 서로 알고도 모른체 살아가는가보다.

아마 우리나라였으면 둘 중 한 가정은 마을을 떠났어야 할 것이다.

허삼관매혈기를 읽으며 떠올린 작가의 작품이 있다.

김정현 작가의 “아버지”와 “고향사진관”이다.

영화로도 제작이 되었던 “아버지”는 가족을 위해 일생을 바친 우리 시대의 아버지에 관한 이야기이다.

가족 누구도 알아주지 않고 오히려 외면받으면서도 아버지로써 가장으로써의 역할에 충실했던 우리네 아버지.

보지는 않았지만 영화 “국제시장”도 그런 내용이 아니었을까.

우리네 아버지들은 다 그러셨나보다. 우리네만 아니라 전 세계 아버지들은 다 그러신가보다.

가족을 위해서라면 무엇이라도 하실수 있는 분이시다.

무뚝뚝하고 정을 표현하시지도 못하시지만 가족에 대한 사랑은 그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 분.

내가 아버지를 이해할 수 있었던 것은 일요일 하루종일 소파를 침대삼아 누워 잘 때 였다.

아~아버지가 이래서 일요일 나하고 놀아주지 않고 하루종일 주무셨구나.

이러지 않으시면 다음주 일주일이 무지 힘들구나.

그 이후부터 아버지의 삶에 대해 조금씩 돌아보고 이해를 하였다.

나는 아직 아버지가 아니다.

될지 안될지 모르겠지만 그래도 아버지라는 존재에 대해 이해는 하고 있다.

아버지에 대한 이야기 “허삼관매혈기”.

곁다리지만 역시나 영화는 글을 따라갈 수 없다는 것을 허삼관매혈기 영화를 보고 느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