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9급 관원들 - 하찮으나 존엄한 너머의 역사책 6
김인호 지음 / 너머북스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시대에나 미천한 직업이 존재했다.

하물며 차별이 법으로 존재했던 조선시대에는 더욱이 심했을 터이다.

이 책은 가장 밑바닥의 직업과 인물에 대한 책이다.

제목은 조선의 9급관원들이지만 실제로는 하층민에 대한 책이다.

통사, 소유, 구사, 마의, 산원, 중금, 숙수, 의녀, 금루관, 착호갑사, 간첩, 목자

염간, 조졸, 비구니, 광대, 점쟁이, 유수와 걸인, 오작인과 망나니, 거골장

몇몇은 들어봤던 명칭이고 대부분은 나의 기억에 전혀없는 것들이다.

하지만 이들이 했던 일을 보면 아~하게 된다.

역사의 기록에서 그다지 나타나지 않는 사람들.

역사가 왕이나 영웅들의 이야기에 많은 치중을 하다보니 이런 사람들의 기록에는 소홀하다.

하지만 이런 기록을 찾아보면 그 시대의 생활상을 알 수 있으니 오히려 재미가 있다.

하나씩 찾아보자.

 

통사가 통역사인 것은 명칭으로 보아 알만하다.

지금은 최고의 전문직으로 대접받고 있지만 조선초기까지는 그러지 않았나보다.

물론 조선후기에는 역관이라는 명칭으로 그리고 대외무역으로 부를 쌓았다는 사람들도 있지만 조선초기에는 기피직업이었다.

그나마 중국(명, 청)의 통사는 대접을 받았지만 여진, 왜의 통사는 통사중에서도 피하고자 하는 분야였으니 이유는 알만하다.

소유와 구사는 좀 비슷하지만 다르기도 하다.

소유는 관청의 말단으로 하는 일은 서류정리부터 각종 허드렛일까지, 하인이라 보면 되겠다.

구사는 나라에서 관리에게 내려주는 하인으로 직급마다 인원이 달랐다한다.

흔히 사극에서 보는 “영상대감 나가신다, 길 비켜라”하는 인물이 구사다.

구사는 그 주인이 잘못을 하면 대신 처벌받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양반관리를 처벌할 수는 없으니 그 하인을 처벌하는 것인데 이게 양반에게도 치욕으로 여겨졌으니 체면을 중시하는 조선사회에서는 나름 중죄이기도 하다.

마의는 조승우가 나왔던 드라마에서도 소개되었지만 어쨌던 하층직업이다.

산원은 관청에서 숫자계산하는 직업. 그 능력이 지금으로 쳐도 왠만한 고등학교 수학 이상의 능력을 보유한 사람이 많았다 한다.

중금은 사극에서 나오는 “국왕전하 납시오”하고 외치는 이를 말한다.

16세이하의 소년을 뽑아썼다고 하는데 그 이후에는 근위병이 되거나 했다고 한다.

숙수와 의녀는 드라마 대장금에서 보았을 것이고

금루관은 시간을 통보하는 일이다.

자격루나 해시계등을 지켜보며 매 때마다 곳곳에 알려주는 일인데 시간을 어기면 큰 벌을 받았다 한다.

지금처럼 시계가 흔한 시대가 아니니 꽤 중요한 일이었을 것이다.

염간은 소금을 만다는 사람이다. 지금처럼 바닷물을 끌여들여 증발시키는 것이 아니라 바닷물을 끓여만드는 저염방식(이게 우리의 전통 소금만다는 방식이다)으로 노동의 강도가 엄청세어 각종 노역을 면제받았다고 한다.

조졸은 조운선을 운반하는 뱃사공이다. 나라가 세금으로 걷어들인 쌀을 운반하는 조운선이니 꽤 대접을 받았을 것 같지만 하는 일과는 상관없이 가장 하층민이다.

오작인은 지금으로 치면 시체검시관이다. 살인사건이 일어나면 관리가 검시를 하러 나가겠지만 양반체면에 시체를 직접 만지지는 못했을테니 대신 해주는 전문직이 필요했을 것이다.

거골장은 백정이다. 뼈를 바르는 사람이라는 의미이다.

농업이 중시되는 사회에서 소가 무척이나 중요했을테네 거골장의 신세도 무척이나 어려웠을 것이다.

다양한 직업이 존재하고 있다.

직업에 귀천이 없다라고 말들하지만 은연중에 귀천을 구별하고 있다.

얼마전 모임에서 한분이 자기가 알고 있는 초등학생이 나중에 커서 맥도날드에서 감자나 튀길것이라고 했다는 이야기에 그 아이가 참 한심하다는 이야기를 했었다.

아마도 대부분의 부모들이 자신의 아이가 그런 소리를 한다면 화를 낼 것이다.

그런데 나는 다른 생각을 한다.

감자를 튀기면 왜 안돼냐? 그 아이에게 한마디 해주고 싶다.

너 참 소중한 일을 하려고 하는구나.

그렇다. 누군가는 감자를 튀겨야 하고 길거리를 청소하고, 똥을 치워야 한다.

3D업종에 종사하면 뭔가 공부를 못했거나 하는 눈으로 쳐다본다.

직업에 귀천이 없다고 하나 이미 본인의 머릿속에는 이런 선입관과 편견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그 아이에게 너는 참 의미 있는 일을 하려고 하는구나 한마디가 그 아이에게 또다른 인생의 전환점을 만들어주었을 수도 있다.

이 책의 부제가 ‘하찮으나 존엄한’이다.

하찮으나 존엄한 일을 하는 사람들.

예전에도 있었고 지금도 있고 이후에도 있을 것이다.

이들을 바라보는 시선을 거두자. 똑같은 사람들이다.

내가 하기 싫은 일을 대신해주는 아주 고마운 사람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