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와 게임이론
자오융 지음, 허유영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삼국지를 세번이상 읽은 사람과는 말싸움을 하지 말라고 그랬다.

그만큼 삼국지에는 많은 내용이 담겨있어 삼국지만으로도 많은 지식을 쌓을 수 있다는 말일게다.

세어보지는 않았지만 삼국지를 열번도 더 넘게 읽은 것 같다.

우리나라에서 나온 것은 왠만한 것은 다 읽었으리라.

이문열, 황석영씨가 책을 내기전에 이미 출판사별로 돌아가며 읽었다.

큰 내용에는 변함이 없지만 작가별로 약간씩의 관점이 다르다는 것은 느낄 수 있다.

나이를 조금씩 더 먹어가면서 나름의 생각을 붙여보기도 한다.

제갈공명이 조조를 선택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공명도 명분에 그렇게 매달리는 사람이 아니었으니 한황실을 이어야 한다는 생각은 아니었을테니

백성을 위한다면 오히려 조조를 선택했어야 함이 옳을지도 모른다.

 

이 책은 삼국지 전반에 걸쳐서 각 인물들이 어떤 결정을 했으며 그 판단을 게임이론으로 분석해봤을 때 어떠했는지를 분석해보는 내용이다.

또한 작가가 공명과 사마의를 다시 재조명하면서 삼국지 후반부를 재해석하기도 했다.

 

'죄수의 딜레마'나 '치킨게임' '내쉬균형'등 게임이론에 대한 기본지식과 삼국지를 몇번 읽어본 사람에게는 참 재미있는 책이 되겠다.

아니 게임이론을 잘 몰라도 자세하게 설명을 해주니 읽는 것 자체로도 재미를 가질 수 있겠다.

 

유비는 왜 여포와 전쟁을 하면서 또 여포에게 서주를 내주고 소패성에 안주했는지, 제갈공명은 적벽대전에서 왜 조조를 살려보내주었는지, 사마의와 공명 사이에는 어떤 암묵적인 상황들이 있었는지

정말 재미나게 그려져있다.

 

실제 그러했는지 어쨌는지는 알수없지만(하긴 삼국지 자체가 정사는 아니고 정사에 바탕을 두고 있는 허구이니) 책을 따라가다보면 삼국지를 읽으면서 조금씩 가졌던 의문들이 하나둘씩 풀린다.

 

한번도 생각을 안해봤던 건데 공명은 정말 자주 위나라와 전쟁을 했더군요.

보통 6개월마다 10만 이상씩을 동원해서 전쟁을 했네요. 보통의 상식으로는 한번 전쟁을 하면 2~3년간은 전쟁준비를 해야 할 것 같은데 쌀 추수하면 한번, 보리 추수하면 한번...촉나라가 나름 국고가 튼튼했나봐요.

사마의도 그냥 공명을 이기지 못하여 전투를 하지 않은게 아니더라구요.

위나라 내부의 권력암투와 자신의 야망을 교묘히 이용하고 있네요.

하여튼 삼국지를 다시 질근질근 씹어보는 느낌입니다. ㅎㅎㅎ

 


* 죄수의 딜레마

상황은 다음과 같다. 두 명의 사건 용의자가 체포되어 서로 다른 취조실에서 격리되어 심문을 받으며 서로간의 의사소통은 불가능하다. 이들에게 자백여부에 따라 다음의 선택이 가능하다.
(1) 둘 중 하나가 배신하여 죄를 자백하면 자백한 사람은 즉시 풀어주고 나머지 한명이 10년을 복역해야 한다.
(2) 둘 모두 서로를 배신하여 죄를 자백하면 모두 5년을 복역한다.
(3) 둘 모두 죄를 자백하지 않으면 둘 모두 6개월을 복역한다.

 두 죄수는 상대방이 침묵할 경우에는 자백을 하는 것이 유리하고, 상대받이 자벽을 하는 경우에도 자백을 하는 것이 유리한 선택이 된다.
이 게임의 죄수는 상대방의 결과는 고려하지 않고 자신의 이익만을 최대화한다는 가정 하에 움직이게 된다. 이때 언제나 협동(침묵)보다는 배신(자백)을 통해 더 많은 이익을 얻으므로 모든 참가자가 배신(자백)을 택하는 상태가 내쉬균형이 된다.  

참가자 입장에서는 상대방의 선택에 상관없이 자백을 하는 쪽이 언제나 이익이므로 합리적인 참가자라면 자백을 택한다. 결국 결과는 둘 모두 5년을 복역하는 것이고, 이는 둘 모두가 자백하지 않고 6개월을 복역하는 것보다 나쁜 결과가 된다.

* 치킨게임

국제정치학에서 사용하는 게임이론 가운데 하나이다. 1950년대 미국 젊은이들 사이에서 유행하던 자동차 게임의 이름이었다. 이 게임은 한밤중에 도로의 양쪽에서 두 명의 경쟁자가 자신의 차를 몰고 정면으로 돌진하다가 충돌 직전에 핸들을 꺾는 사람이 지는 경기이다. 핸들을 꺾은 사람은 겁쟁이, 즉 치킨으로 몰려 명예롭지 못한 사람으로 취급받는다. 그러나 어느 한 쪽도 핸들을 꺾지 않을 경우 게임에서는 둘 다 승자가 되지만, 결국 충돌함으로써 양쪽 모두 자멸하게 된다.
즉, 어느 한 쪽도 양보하지 않고 극단적으로 치닫는 게임이 바로 치킨게임이다. 이 용어가 1950~1970년대 미국과 소련 사이의 극심한 군비경쟁을 꼬집는 용어로 차용되면서 국제정치학 용어로 굳어졌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정치학뿐 아니라 여러 극단적인 경쟁으로 치닫는 상황을 가리킬 때도 인용된다.

간단한 예를 들면 동네에 큰 마트가 들어서서 물건 값을 내려서 손님을 끌자 옆에 마트가 자기도 가격인하를 하며 서로 경쟁을 합니다. 이런 경쟁이 그 정도가 너무 심하게 되서 한 마트가 망해서 없어질때까지 극단적으로 경쟁을 하는 것을 치킨게임이라고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