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 전3권 세트 - 한국만화대표선
박흥용 지음 / 바다그림판 / 2007년 7월
평점 :
품절


내 인생에서 사상(?)의 터닝포인트가 되었던 책입니다.

꽤 오래전에 읽었던(보지않고 읽었습니다) 만화입니다만 아직도 기억이 생생합니다.

 

영화화되었죠.

오늘 보고 왔습니다만 대부분의 영화가 원작의 감동을 제대로 표현해 내지 못한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했습니다.

특히나 이 만화는 굉장히 철학적이라서 영상으로 표현해내기가 힘들꺼라고 생각은 했습니다.

 

영화말고 책 이야기를 해볼게요.

두 사람이 나옵니다.'

한견주와 이몽학

 

둘의 공통점은 서자출신이면서 자유로운 사람이 되고싶어 한다는 것.

 

한견주는 자신의 출신성분때문에 세상에 분노를 터뜨리며 삽니다.

아버지의 권유로 맹인검객을 만나 세상을 떠돌면서 칼을 배우고 조선8도에서 칼을 제일 잘 쓰는 사람이 됩니다.

칼을 잘쓴다는 소문을 듣고 온 이몽학을 만나기도 합니다.

이몽학은 세상을 뒤엎을 꿈을 꾸는 사람입니다.

그래서 인재들을 찾아 모으고 있습니다.

 

자 그러면 저는 왜 이 책이 제 사유의 터닝포인트가 되었다고 할까요?

그것은 바로 이 두사람의 생각과 방법의 차이를 보았기때문입니다.

 

세상 모든 사람이 자유로운 유토피아가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한견주는 개개인의 노력을 통한 자아성취를 이야기합니다.

우리가 흔히 하는 말로 '도가 텃다'라고 하는 것처럼 개개인이 자아성취를 이루면 그것으로 자유로와진다고 생각하는거죠.

한견주도 그랬고 맹인검객도 그랬고 안성의 방짜유기장이도 그랬습니다.

세상은 개개인의 모여 만들어지는 것이니 그 개개인이 모두 자유인이 되면 세상은 유토피아가 된다고 보는 것이죠.

 

이몽학은 다른 방법으로 찾아갑니다.

만인이 평등한 세상을 만들면 모두가 자유로와진다고 생각합니다.

흔히 말하는 좌파적 발상이죠.

그래서 그는 모든 사람이 평등한 세상을 만들려고 자기의 생각에 동조하는 사람들을 모아 난을 일으킵니다.

 

저는 이 만화를 읽고 많은 생각을 했습니다.

누구의 방법이 말이 맞을까요. 누구의 방법을 따라가야 할까요.

좀 갈팡질팡합니다.

몸은 이쪽에 있으면서 머리는 저쪽에 있다고나 할까요.

 

지금도 세상에는 평등세상을 꿈꾸는 사람들이 많구요,

또 한편으로는 개인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면서 다른이들의 발전도 도와주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저 개인적으로는 법정스님께서 그런분이 아니었을까하는 생각을 합니다.

 

혹자는 유토피아는 이루어질수 없기때문에 유토피아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그렇기에 꿈꾸어볼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꿈조차 꾸지 않는다면 세상은 너무 슬프겠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