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터넷 권력전쟁 - 사이버 세계를 조종하는
잭 골드스미스 외 지음, 송연석 옮김 / NEWRUN(뉴런) / 2006년 11월
평점 :
품절
[이 신기술은 누구나 금방 손쉽게 다른 사람과 만나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해주고,
정치적 국경을 사실상 지워버릴 것이며, 자유무역을 보편화시킬 것이다.
기술발전덕분에 이제는 더이상 외국인이란 없으며, 우리는 점차 공동의 언어를 채택해나가게 될 것이다]
어떤 기술을 설명한 글일 것 같습니까?
인터넷?
틀렸습니다.
100년전에 전보가 발명되면서 나왔던 말입니다.
그 이후로 100년이 지났습니다.
전보가 발명되었을 때 저런 말을 했는데 사실 저 말은 인터넷이란 기술에 더 어울리는 말인 것 같군요
사실 인터넷은 초창기에 커뮤니티로부터 출발했다고 하더군요.
초창기 인터넷의 세계에서는 규칙도 권한도 권력도 없었다고 하더군요.
사용자 모두가 서로 의견을 충분히 교환하고 논의하고 토론하면서
여러가지 사항들을 결정했다고 하더군요.
흔히 국가나 조직에서 벌어지던 하향식 의사결정과
법이라는 것으로 불리우는 규칙, 그리고 권력도 없었답니다.
그럼으로 인해 국가와 정부의 힘은 약해질 수 밖에 없었다고 예측을 했었지만
그 예측은 틀리고 여전히 인터넷은 법과 권력, 그리고 사업논리에 따라 움직이고 있습니다.
초창기 인터넷이 정말 믿음과 신뢰에 근거한 공동체가 꾸려졌다는 거지요.
제가 생각하는 이상사회가 이런 사회입니다. ㅎㅎㅎ
하지만 점점 사람이 많아지고 문제가 발생하고 하면서
초기 운영자들은 어쩔수 없이 규칙이라는 것을 만들 수 밖에 없었으며
그 규칙은 점점 더 많아졌답니다.
인터넷. 국경을 허물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인터넷에서도 엄연히 영토국가에서 존재하는 국경이 존재하고
권한과 통제가 사라질 줄 알았지만
오히려 권한과 통제는 더 많아졌습니다.
한국을 예로 들어봐도
1년전까지만 하더라도 인터넷실명제와 관련해서
대부분의 누리꾼들은 극렬하게 반대했습니다만
악플로 인한 피해가 심각해지면서
이제는 오히려 누리꾼들로부터 실명제이야기가 심심찮게 올라오고 있습니다.
중국정부는 자국내에서 인터넷 사용을 엄격히 통제하고 있습니다.
인터넷사용은 자유로우나 민주나 다당제 대만독립등 중국정권에 위협이 될만한
단어는 모두 금지되고 있다고 합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런 통제기술을 미국의 인터넷회사가 개발하여 운영중이며
야후를 비롯한 여러 포털사이트에서도 중국정부를 도와주고 있다고 합니다.
진짜 아이러니 합니다.
인터넷 국경이 없을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엄연히 존재하네요.
예를 들어서 제가 '책사랑'을 책을 팔아먹기 위한 출판사들의 교묘한 위장이다, 운영진은 전부 출판사와
모종의 커넥션이 있다(예가 좀 그렇네요 ㅠㅠ)이렇게 글을 썼을때
미국에 있는 책사랑회원이 저를 미국법정에 고발했을때
저는 미국수정헌법 제1조 표현의 자유에 의해서 무죄랍니다. ㅎㅎㅎ
하지만 호주에 있는 분이 저를 호주법원에 고발했을 경우
저는 심각한 명예훼손으로 법적제재를 받게 된다네요. ㅠㅠ
지금의 인터넷은 거의 미국의 수중에 들어가있다네요.
초창기 인터넷 개발자들이 미국의 손아귀에 들어가는 것을 막기위해
미국정부에 대항했지만 결국은 이렇게 되었답니다.
이 책의 결론은 세계화와 정부의 충돌로 맺고 있습니다.
인터넷을 통해 세계는 단일화 즉 세계화의 길로 가게 될 것이고
그것을 막기 위한 각국정부의 노력 또한 점점 그 강도가 세어질 것이라는 거지요.
지금부터 아니 이전부터 벌어지고 있는 인터넷, 전세계 누리꾼들과
정부와의 보이지 않는 싸움~~
미래가 기대됩니다.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