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인생의 스프링 캠프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22
정유정 지음 / 비룡소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번도 소설 수업을 받아보지 않았다는 작가 정유정을 읽을 때면 늘,

그럼 나는 그만한 욕구를 마음속에 충분히 뿜어내고 있는가라는 자괴감에 빠지곤 한다.

그도 애초에 이야기꾼은 아니었듯, 너도 기질을 발현시킬 때라는 걸 알았으니 이제 방아쇠를 당기면 된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이 긴 이야기는 결국 꿈같은 여행의 흔적이다.

평가자들은 리얼리티에 의문을 주었다지만, 내 외가가 있는 송정리 영광통과 내 고등학교 시절을 보낸 임곡이 나오는 이 소설을 나는 좋아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소설의 리얼리티는, '함께 따라갈 수 있느냐'에 있지 않는가.

 

몸의 피로와 출근 시간 상황에 따라, 삽시간이랄 건 없지만,

지하철안에서 잠자리에 들기전에 틈틈이 시간을 내어 4일 정도에 거쳐 읽었다.

그 사이에 은희경의 단편과 신춘문예집을 읽고 있다.

문장력이야 이들에 비할 바가 아니지만, 나는 정유정이 이야기꾼으로서 발전하고 싶다는 말에 공감했다.

 

무엇보다 이 작품 뒤에 나오는 소설 <내 심장을 쏴라>를 보면 공감이 간다. (개인적으로는 내 심장을 쏴라에 한표를 던져주고 싶다. 문장이 점차 뚜렷하게 몽울진다.)

 

정유정이 소설을 쓰기로 했을 때 두개의 종탑이 있었다고 한다.

한가지는 모험, 한가지는 스릴러.

이 두가지에 대해 집요하게 물고늘어진, 정유정은 이야기꾼으로서 스스로의 능력을 그동안 뭉클인채 탐구하고 있었나보다.

 

자 이제 작품이야기.

 

익살과 재치는 조금의 위악이 들어가기도 한다. 게다가 15살짜리 전라도에만 살던 아이가 아주 시끄럽고 복잡한 환경을 보며 잠실구장의 소리같다는, 경험도 못해봤을 상상을 하곤 한다. 그러나 숨가쁘고 격렬한 모험 속에서 삶을 통찰하는 능력은 변치 않았다. 그 힘이 정유정의 소설에 있는 가장 크고 무서운 힘이다.

 

어떤 장편소설을 읽다보면 그저 이야기에만 초점이 맞춰진다.

그런데 정유정은 늘 거기에 생에 대한 자신의 사유를 집어넣는다.

그게 기대되어, 400쪽이 넘는 이야기는 아무렇지 않게 스윽 넘어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제 7년의 밤 읽으면 정유정이 다 보이지 않을까.

작가가 새로운 시도를 해보지 않는다면, 이 세권이면 작가의 글을 다 파악할 듯.

그러니, 이게 끝이 아니길 바란다.

 

닮고싶은 리얼리티가 들어간 문장.

아이는 어릴 때부터 곧잘 발을 헛디뎌 넘어지고 어딘가에 부딪쳐 상쳐를 입곤 했다. 밤에는 마당에도 혼자 나가지 못했다. 무지한 그는 몸이 약해 그러려니 하며 대처 한의원에서 보약만 지어다 먹였다. 그가 문제의 심각성을 때달은 건 아이가 열두살이 되던 해인 1980년 5월이었다. 그즈음 아이는 주변 사물은 물론, 중심 사물도 명확히 보지 못했다. 그는 읍내로, 목포로 용하다는 병원을 찾아다녔지만 의사들은 야맹증과 시력 상실의 원인을 찾아내지 못했다. 광주의 대학병원으로 데려가라며 소견서만 써주었을 뿐이다.

189

 

그리고 불쑥 불쑥 책장을 접게 만든 문장.

어쩌면 승주를 믿었다기 보다는 바라는 것을 믿으려 한 건지도 모른다. 209

눈을 떴다. 그러나 의식은 계속 꿈의 잔상과 기억이 교차하는 지점을 배회했다. 355

세상에는 신이 내 몫으로 정해 놓은 '비밀'이 더 있을거라고 생각해. 그렇지? 그렇다고 동의해줘. 38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