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채링크로스 84번지
헬렌 한프 지음, 이민아 옮김 / 궁리 / 2004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책날개에 소개된 바와 같이 이 책은 어떻게 보면 단순한 고서점에 보내는 도서 청구서와 고서점의 납품서라고 볼 수도 있다.
우리식으로 산다면 이런 책이 나올 리가 없다.
적어도 나는 고서점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이런 말을 할 수가 있다. 단 돈 몇 푼 더 버는 게 당장의 목적이고 어떤 인간적인 틈새도 용납하지 않는 우리 같은 문화환경에서는 이런 책이 절대로 나올 수가 없다. 이건 비단 고서점에 관련된 문제만이 아니다.
문화라는 것, 책이라는 것, 예술이라는 것, ...이런 것이 없어도 얼마든지 살수가 있다고 믿는 사람들이 너무도 많고, 당장 돈이 되고 쌀이 되지 않는 것은 다 소용없는 짓이라는 생각이 팽배해 있는 한 문화라는 것이 피어날 수 없는 것이다.
내가 대한민국의 제2의 고서점(당시 제일 큰 고서점은 <통문관>이었다.)에서 근무할 당시의 월급은 2000원이었다. 때는 거슬러 올라가 1967년 경이었다. 2000원 중에서 1000원은 끼니를 굶고있는 부모님게 보내고 1000원으로 한 달을 사는 거다. 목욕은 물론 이발도 제대로 할 수 없고, 나의 유일한 해방은 주일 미사에 참여하는 것이었다. 물론 밥은 주인집에서 먹었다. 그러나 그 대신 주인집 아들의 과외를 해 주어야 했는데, 이 애가 어찌나 교활하게 속을 썩이는지 애를 많이 먹었다. 즈이 엄마가 너무나 들볶으니까 모든 핑계를 나에게 돌리는 것이다. 예를 들면 과외선생이 제대로 가르쳐 주지 않았다는 둥 늦게 왔다가 일찍 간다는 둥.... 그러나 내가 전심전력을 기울여 성심껒 가르친 결과 나중에는 성적이 현저하게 오르고, 이 애가 나를 무척 따르던 기억이 난다. 진(晉)씨인 이 꼬마도 지금은 나이 40의 중년이 되었겠지.....
제일 괴로웠던 일은 잠자는 일이다. 책방의 한 켠에 다다미를 한 장 놓고 그 위에서 웅크리고 자는 건데, 특히 겨울 밤에는 자다가 한 두 번은 꼭 깨어 일어나야 한다. 왜냐하면 이 때문에 가려워서 도저히 잠을 못 자기 때문이다.
12시 쯤 일어나 내의를 모두 벗어서 바깥에 널어 놓는다.겨울 추위에 이들이 얼어서 죽기를 기다린다. 나로가에 앉아서 한 30분 기다리는 것이다. 그러다가 이가 다 죽었겠지 할 때 쯤 나가서 내의를 훌훌 털어입고 자는 것이다. ...이런 짓은 하룻밤에 한 두 번 해야하는 것이다. 지금이야 그까짓 내복 2벌 사서 한 벌은 입고 한벌은 내다 널면 돼잖냐? 고 생각하겠지만 당시에는 내복 한 벌이 꽤 비쌌기 때문에 그럴 엄두도 못 냈다.
어떻든 이런 고서점 생활에서 고객과, 더구나 해외로 넘나드는 고객과의 편지는 상상도 못하는 일이었다. 아마도 이런 상황은 지금도 별로 달라지지 않았을 것이다. 오히려 지금은 일부 대형 서점을 제외한 많은 서점들이 문을 닫는 형편 아닌가? 더구나 고서점은 사양길로 접어든지 오래다. 굵직 굵직한 사회과학 서점들이 연이어 문을 닫았다는 소식이 들린다.
전쟁이 끝난 후의 궁핍했던 영국의 한 고서점 사람들과, 미국 뉴욕의 간난한 무명작가의 이 아름다운 교류는 고독한 현대인의 마음을 적셔주는 한 떨기 들꽃 같은 향기를 우리에게 선사한다. 편지(청구서)는 빠른 템포로 책방 사람들의 삶의 궤적을 보여준다. 아름다운 사연이 계속되고, 영국으로 계속 초청을 하지만 결국은 이루어지지 않고, 그러다가 갑자기 책방 주인 프랭크가 돌아갔다는 소식이 전해오고 어느덧 지금은 서점이 문을 닫았다는 에필로그가 보인다.
이것이 한 시대를 살다 간 한 사람의 생애의 압축판이다. 만약 뉴욕의 무명작가가 영국의 책방 사람들의 초청을 받아들여 일찍 영국의 채링크로스 84번지를 방문했더라면... 아마도 이들의 고독한, 그러나 정겨운 만남은 이렇게 오래 지속되지 못했을 것이다.
헬렌 한프는 온라인 시대의 선구자적 예감을 실천한 사람으로 기억될 것이다. 지금 우리가 인터넷을 통하여 만나고 헤어지고 대화하고 정보를 공유하고 토론하고.....하는 것을 그녀는 당시 편지라는 매우 고전적인 방법을 통하여 실천했던 것이다. 이렇게 볼 때인터넷과 편지는 매우 유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어떻든 우리는 살기 위해서 소통을 원하고 그 소통의 방법이 종이 위의 편지에서 온라인으로 변한 것 뿐이 아닌가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