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으로도 때리지 말라
김혜자 지음 / 오래된미래 / 200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시, 희망은 있는가?

 

배우 김혜자씨의 방송인터뷰가(3월 중순경) 있자 마자 나는 그분의 책을 샀다.

 

<꽃으로도 대리지 마라>

 

그러나 나는 그 책을 서가에 꽂아놓은 채 차마 읽을 수가 없다. 방송에서 그녀의 목소리 몇 마디를 듣는 것만으로도 흐르는 눈물을 주체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책을 꽂아 놓은 채 하루에 몇 번 씩 바라보고 만져본다.

 

희망이라는 것이 있기는 있는 것일까?

 

이 글을 쓰는 나나 이 글을 읽는 분들이나 모두 자신의 고통 속에서 희망 따위는 없다고 말하고 싶을지 모르겠다. 어떤 분은 건강 문제로, 어떤 분은 부부간의 문제로, 어떤 분은 어쩔 수 없이 진 카드 빚 때문에.....

 

사실 우리의 주위를 둘러보면 아무 곳에서도 희망이 보이질 않는다.
세상은 전쟁과 살륙으로 하루도 조용할 날이 없고 정치는 정쟁으로 날을 지새우고 청년실업자는 나날이 늘어나고 가난한 사람과 돈 많은 사람의 간격은 점점 벌어지고 문화는 퇴폐의 징후를 보이고 종교는 자신의 아성 속에서 민중의 고통을 외면한 채 자신의 배만 불리려고 하고......

 

그러나 과연 그럴까?
세 명의 여인이 떠오른다.
마더 데레사, 배우 오드리 헵번, 그리고 배우 김혜자.
진정으로 여성적인 것만이 우리를 구원하리라는 구절이 이 시대에 복음처럼 들려온다.

 

앙리 듀낭이 솔페리노의 참상 속에서 느꼈던 바로 그 진실을 오늘 배우 김혜자는 실천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김혜자씨 역시 처음에는 절망을 느꼈다.
처음에 에티오피아를 방문하고 나서 너무도 절망이 컸던 나머지 귀국하는 비행기 안에서

 

"다시는 이런 곳에 오지 않게 해달라."고 기도했다고 한다.

 

혼자 짊어지기에는 너무나도 큰 절망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구로 공단의 어느 미싱사 아가씨가 소년소녀 가장 돕기에 쓰려고 꼬깃꼬깃 모아두었던 돈 8만 천 원을 사랑의 빵 성금으로 내고 싶다는 전화를 받는 순간

 

"신이 나의 손을 잡아 이끄는구나."하고 마음을 바꾸었다고 한다. 

 

절망적인 이 시대 속에서, 우리 개인의 온갖 절망을 넘어서 나는 희망을 본다.
오늘 나는 깊은 절망 속에 있다.
무엇 하나 제대로 되는 일이 없다.
그러나 나는 절망할 자격이 없다.
왜냐하면 이들이 있기 때문이다.

 

8만 천 원을 내놓겠다고 했던 가난한 미싱사 아가씨, 배우 김혜자, 그 예뻤던 오드리 헵번, 그리고 인류의 어머니 마더 데레사....

그래, 이들이 있는 한 아직도 희망은 있다.

 

마지막으로 김혜자씨는 이렇게 말한다.
"아이들한테 제대로 해주지 못해 늘 미안했는데 그런 아이들은 엄마한테,
'새벽 3-4시까지 책 읽는 모습이 너무 보기 좋았다.'
고 오히려 이해해 줬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칼의 노래 1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3년 12월
평점 :
절판


김현의 <현의 노래>가 아닌< 칼의 노래>를 펼치니 첫 장에 이런 말이 나온다.

"2000년 가을에 나는 다시 초야로 돌아왔다. 나는 정의로운 자들의 세상과 작별하였다. 나는 내 당대의 어떠한 가치도 긍정할 수 없었다. 제군들은 희망의 힘으로 살아있는가? 그대들과 나누어 가질 희망이나 믿음이 나에게는 없다. 그러므로 그대들과 나는 영원한 남으로서 서로 복되다. 나는 나 자신의 절박한 오류들과 더불어 혼자 살 것이다."

세상과 화해할 수 없는 작가의 고독한 내면이 솔직하게 표현되었다. 작가는 이렇게 소위 당대의 희망이라는 것과 한 발자욱 떨어진 자리에서 세상을 관조한다.

그러나 과연 그럴까?
아니 그 자신은 그럴 수 밖에 없음을 안다. 나도 그러고 싶다. 그러나 그럴 수 없는 것이 또한 우리의 삶이 아닌가? 어떻든 이 세상과 화해하지 않고는 살 수가 없기 때문에 저자는 다시 거리로 나서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희망이 사라진 시대이다.
어떤 구석을 둘러보아도 암담한 구석 뿐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희망을 거둘 수가 없다. 희망을 거두어서는 살 수가 없기 때문이다.
희망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희망은 아마도 사랑에서 잉태될 것이다.
사랑은 생명의 근원이고 희망은 생명에서 비롯된다.
여성적인 것이야 말로 우리를 구원한다는 말이 바로 이것이리라.
절망의 땅위에 오늘도 사랑의 결실로서 여성은
수태하고 출산한다.

하나의 절망이 독버섯 처럼 번져나갈 때
또 하나의 아주 연약한 희망이 태어난다.
끝없는 싸움과 같은 희망과 절망의 대결은
지금 승산이 없어 보일지라도 희망을 버릴 수는 없다.
자신을 던져서 아주 작은 사랑을 실천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지 깜짝 놀라게 된다.

완고한 세계의 구조는 사악하지만
사랑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의 연약한 팔다리가
희망의 가교를 이어가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