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윗과 골리앗 - 강자를 이기는 약자의 기술
말콤 글래드웰 지음, 선대인 옮김 / 21세기북스 / 2014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일만시간의 법칙을 내세운 아웃라이어로 유명한 (물론 이 외에도 좋은 저서가 많음) 말콤 글래드웰의 신작.

선대인 씨가 번역했다고 트위터랑 블로그에 여기저기 글을 올려서 호기심에 사서 보았는데, 

과연 재미있어서 푹 빠져들어서 읽었다. 하지만 뒤로 갈수록 좀 힘이 빠짐.. 마지막에는 설렁설렁 읽고 마쳤다. 

 

요약하자면, 

강육약식의 세상이라고 해서 늘 약자가 지는 것은 아니며, 

역사상의 전쟁 결과만 놓고 보더라도 약자가 자신의 위치, 강점을 살린 경우(정면전이 아닌 게릴라 전으로 대응 등)에는 승리한다는 것이

높은 확률(1/3)로 나타난다는 것. 

따라서 기성 제도에서는 불리한 상태에 있는 사람이라도(예를 들면 독해가 중요한 교과과정에서 난독증을 갖고 있는 경우) 

자신의 강점을 살린다면 충분히 성공의 기회가 있다는 것. 

 

그리고 용의 꼬리가 될 것이냐 닭의 머리가 될 것이냐 하는 문제에 있어서는 

결론적으로 닭 머리가 낫다는 주장. 

어디에서나 최상위에 있는 사람들은 소속 집단의 평균적인 수준과는 관계없이 최상의 성과를 내고 있다.

예를 들어 예일대의 하위 그룹과 상위 20위쯤 되는 대학의 최상위 그룹의 연구/논문 실적을 비교한다면 상위 20위 대학이 낫다는 것.

때문에 최상위 그룹에서 최상위 집단이 아닌 경우, 그룹 전체의 수준에 미달하는 사람들은 좌절을 맛보게 되고, 

오히려 차상위 그룹이라면 좋은 실적을 낼 수도 있었을텐데 결과적으로 낙오하고 만다는 것. 

지금까지 충분히 체감해 온 바지만, 파레토 법칙을 증명하는 듯 하여 씁쓸했다. 

 

이 부분에서는 전작에서의 주장과 배치되는 측면이 있어서 말콤 글래드웰이 주석에서도 부연 설명을 달아놓긴 했는데

책에 등장하는 바로 그 인물(브라운대에 입학했다가 학업을 따라가기 힘들어 좌절) 대학시절 수없이 좌절해 온 경험상 

납득이 안 되는 건 아니지만 - 게다가 결론적으로 나도 전공과는 다른 분야에서 일하고 있으므로 학업을 포기한 것과 같다 - 

그래서 결과적으로 상위그룹에 속하는 게 좋은가, 하위그룹에서 상위권에 속하는 게 좋은가? 하는 문제에서는 

저자의 주장에 100% 동의하기 어렵다. 

 

요컨대, 좌절했기 때문에 포기하느니 하위 그룹에서 성과를 내는 것이 낫다. 

하지만 좌절했음에도 불구하고 어쨌든 상위 그룹에서 일정 부분 성과를 거둔다면, 이득이 되는 면도 있다. 

기본적으로 상위그룹의 수준이 더 높기 때문에. 

여기에는 개인의 성향이라는 게 파라메터로 존재하는 게 아닐까. 

 

공대 1학년이라면 필수로 들어야 하는 물리학에 좌절했을때 

다른 학교의 물리학 교재를 보고 저 정도라면 나도 할 수 있는데.. 하는 생각을 했던 기억이 있다.

여긴 내 수준으로는 무리야, 라고 고민도 한 반면, 그러니까 굳이 좌절할 필요는 없어. 라고도 생각할 수 있었던 것 같다. 

 

나는 최고지향적인 성격이 아니라 어느 그룹에서나 대충 중간을 가는 성격이라 상위그룹에 가는 게 그나마 나았을 거라고 자위중. 

어쨌든 열심히 공부하지 않은 내 탓이오... 


 

 

결론 : 책은 재미있고 주장은 걸러서 들으시오.

 

저자는 지금 불리한 입장이라고 해서 성공의 사다리가 치워진 것은 아니라며 희망을 주고 싶은 것 같지만

불리한 입장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운과 노력이 필요하다(물론 노력한 댓가는 달콤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