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미안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4
헤르만 헤세 지음, 전영애 옮김 / 민음사 / 200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투쟁한다. 알은 세계이다. 태어나려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깨뜨려야 한다. 새는 신에게로 날아간다. 신의 이름은 압락사스" 

 주인공 싱클레어는 부유하고 온화한 가정에서 따뜻한 관심을 바라며 자란다. '크로머'라는 악당기질의 급우로부터 괴롭힘을 당하다, 몸과 마음이 경건한 '데미안'으로부터 불행을 극적으로 벗어나게 된다. 그렇게 시작된 그들의 인연은 다소 민망하고 부끄러운 그 시절과 대면하기 껄끄러워 잠시동안 싱클레어와 데미안은 멀어질 듯 하지만, 그에게서 벗어날 수 없음을-그에게 강하게 끌림을 느끼는 싱클레어는 차후 그와 대면하여 진정한 자아로서, 다소 편하게 다른 사람들의 울타리 안에서의 안전함을 벗어던지고 진정한 자유로의 세계로 발돋움하게 된다. 

 방황하는 시기, 술이 주는 유혹과 대단한 거사를 치른듯한 자세로 선생님으로부터는 문제아, 친구들로부터는 영웅으로서의 강한 만족감을 드러내는듯 싶다가도 떨어지는 성적과 낙오자로 바라본 아버지의 잔소리, 그리고 진정으로 자신을 깨닫게 만들어 준 데미안과의 또 한번의 만남, 실망, 자신에 대한 멸시감, 또 하나의 질풍노도같은 사랑, 거칠 것 없이 찾는 그의 헛된 노력,  

우연히 교회 오르간 소리에 심취하여 만나게 되는 '피스토리우스' 또 한명의 인도자를 만나면서 그는 데미안과 겹쳐보게 되었고, 알에서 깨어나오려는 듯 망치질하듯 두 사람은 서로의 세계를 다시금 고찰하기도 한다. 

치열한 삶, 단조롭기도 하면서 자신의 자아찾기놀이에 명쾌한 답을 찾기가 이리도 어려운지, 왜 이렇게 인간은 늘 시건방진 유혹에 잘도 넘어가고 다소 어리석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에만 빠져버릴수밖에 없는 단순함을 가지고 있는걸까.  

에바부인, '데미안'의 어머니로부터 사랑을 느끼는 싱클레어와 그런 불완전한 표식의 아이를 진정한 길로 갈 수 있도록 현명하게 대처하는 에바부인은 좀처럼 그 신비스러움이 양파껍질처럼 벗길 수 없는 현자의 느낌이 들기도 했다. 수수께끼 같은 사람들. 

그들은 구도자라고 칭해야 하겠지. 스스로의 삶을 주도해가면서 구축해 나아가는, 다른 약하고 무리지어 패거리를 만드는 사람들과는 다른 반짝반짝한 그들만의 생각과 예언, 낯설지만 익숙하게 그들고 무리지어 자신을 비로소 형성해나가는 싱클레어의 자아찾기의 고난과 완성, 

그에게 멘토가 되어주고 등불이 되어주는 인도자가 있었기에, 때로 그 스스로가 거친 파도에 몸이 휩쓸려 조난의 신세가 될지어도 언제든 누구든지 그를 붙잡아 줄 수 있는 존재로서 다가왔다. 

그 점이 참 부러웠다. 내 주변에는 나를 붙잡아주는 인간이라기보다 조언을 아끼지 않지만 전적으로 책임을 지고 내스스로가 결정해야 하는 사항들도 많고, 뿌리치기 힘든 유혹때문에 눈앞에 의를 저버린적도 없다할 수 없기 때문에 조금 가슴이 아프기도 했다. 무너지듯 처참하기도 했고, 

주인공처럼 뭔가 자신에게 의기투합할 수 있고, 남들보다 앞서가고 있다고 느껴보고 싶기도 하다. 본연의 나를 찾는 노력을 소홀히 해서 금방 다른 사람의 말에 휩쓸려 팔랑귀라는 소리까지 듣고 있는 실정이니, 어쩌면 이 '데미안'이라는 책은 먼 훗날 내 아이에게 꼭 읽혀주고 싶다. 

눈앞이 깜깜할지언정, 현재의 삶에 안주하여 살면서 삶에 대한 회의감을 들면서 사는 요즘에 나에게 강력한 화살촉을 심장에 과격하게 하는 듯한 통증을 느끼기도 했다. 

내 안의 압락시스가 나를 조롱한다. 더럽고 추악한 내 안의 본성이 다시금 목 위까지 차오른다. 도대체 나는 어디로 가야 할까, 내 멘토는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있을까, 

 혹시 나는 너무 어렵게만 생각하고 있는것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