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토익 만점 수기 - 제3회 중앙장편문학상 수상작
심재천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2년 1월
평점 :
품절


이 책의 제목에 대해선 아마도 상당한 오해가 있을 듯 싶다. 토익 만점 수기라는 말에 혹해서, 혹시? 하는 마음으로 구입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우선 말리고 싶다. 이 글은 진짜 의미에서의 '토익 만점 수기'가 아니다. 인터넷에서 조금만 검색해보면 튀어 나오는 '실전을 쌓고자 애썼고 교재는 주로 어디를 참고했으며...' 운운하는 만점자들의 어드바이스 같은 것과는 거리가 오억 광년은 멀다. 이 책엔 어드바이스도, 만점을 위한 실전 노하우 같은 것도 없다. 필승 비법도 없다. 이건 그냥 소설이다.


사실 나는 이 책을 구입하기 전부터 대략적인 정보는 가지고 있었다. 중앙장편문학상 3회 수상작이고, 당시 신문에서는 작가가 문학부 기자를 하다가 일을 그만두고 소설쓰기에 매진했으며 실제 자신이 호주에서 어학 연수를 하며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작품을 써냈다는 기사가 떠 있던 것으로 기억한다. 소설가가 되겠다며 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나왔다는 작가의 이력도 대단했지만, 무엇보다 자신의 체험을 참고했다는 이야기에 상당한 흥미를 느꼈었다. 그래서 책이 나오기만을 손꼽아 기다렸던 것 같다. 이제야 겨우 구매하게 되었지만, 무튼.


이 책의 가장 큰 매력은, 다른 건 다 차치하고서라도, 정말이지 '재미있다'는 사실이다. 재미있다는 말은 개인차가 있으니 공정하지 못한가. 그렇다면 달리 말해보자. '다 볼 때까지 펼친 책장을 덮기 힘들 정도'의 소설이다. 적어도 내겐 그랬다. 잠이 오질 않아 슬쩍 첫 장을 펼친 순간부터 마지막 장을 읽는 순간까지 나는 끝내 책장을 덮지 못했다. 화장실도 안 갔다. 이 정도로 푹 빠져서 읽는 글이 정말로 오랜만이어서 다 읽고 난 후에도 한동안 정신을 못 차렸다. 엇, 하는 사이에 다 읽었다고 하면 옳은 표현일까. 그 정도로 재미있다. 재미만 있을까. 흡입력도 굉장하다. 아무리 재미있는 이야기라고 해도 전달력이 떨어지면 소용이 없다. 일단 읽을 수가 없는 글이 대체 무슨 감동을 주고 재미를 준단 말인가. 그런 면에서 심재천은 정말로 신인답지 않다. 독자를 내내 자기 작품에 붙들어 묶을 수 있는 내공이라니. 아이유의 애교 뿐만이 아니라 이런 게 조련이다. 독자를 능수능란하게 조련하는, 그래서 작품을 떠날 수 없게 만드는 '조련'.


이 책의 소재는 신선하지 않으며 동시에 신선하다. 이렇게 느끼게 되는 이유는 이 책의 주된 소재가 '토익'이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토익이란 말은 이제 너무 지겹다. 수능 직후부터 토익은 주구장창 우리 주변을 습격하고, 취업을 하고 가정을 가지고 나이를 먹어도 지겹도록 들려온다. 대학을 가도 토익, 취업을 할 때에도 토익, 승진을 준비해도 토익, 이직을 준비할 때도 토익, 자식 걱정에도 토익. 뭐든 하여간 다 토익이다. 토익 점수 얼마를 따야 어떤 직장엘 가고 어떻게 승진을 할 수 있느냐는 이야기부터 토익은 미국의 장사수단에 불과하다는 다소 비난조의 이야기까지, 토익은 정말 곳곳에서 튀어나오며 우리를 괴롭힌다. 


이러니 토익 자체는 사실 신기하지 않다. 그런데, 이 글의 토익은 신기하다. 절대로 토익을 잘하라고 말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하지 말라고, 포기하라고 하는 것도 아니다. 분명 이 글의 주인공은 토익 점수를 올려 만점을 받고 싶어하고, 그때문에 정말 황당무계한 (스스로 마리화나 운반책이 되고 재배 농장에서 인질을 자처하는 등의) 행동을 일삼고 있지만 그게 이 글의 본질은 아니다. 이 글의 주인공은 어떨 땐 정말 비열하고 안됐기도 하고 한심하기도 하고, 하지만 정말 속이 다 상할 정도로 공감이 간다. 모의 시험에서 800점이 넘은 주인공을 진심으로 축하해주면서 '왜 슬퍼하고 있는 건지' 이해를 못하는 스티브도, 토익도 음모론의 일부에 불과하며 다 됐으니 넌 나한테 한국어나 가르치라는 태도의 요코도 너무나 이해가 간다. 이해가 가고 공감이 가는 상황이 우습다. 우스운데, 이상하게 자꾸 슬프다. <나의 토익 만점 수기>는 그런 글이다. 웃고는 있는데 눈물이 난다는 말은 정말 이럴 때 쓰는 모양이다. 웃는데, 나는 기쁜데, 자꾸 눈물이 난다. 그건 이 주인공이 너무 낯설지 않기 때문이다. 너무나, 도처에 있다. 토익 990점이 '당연해야하는' 사람들은. 그게 꼭 눈 두 개 달린 것처럼 자연스러운 그런 사람들은.



책 속에서는 토익 990점 만점이라는 것은 결국 '사람이 눈 두 개 달린 것처럼'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했다. 하지만 이 글은 눈 두 개 달린 사람들을 위한 글이 아니다. 때문에 눈 두 개 달린 사람으로 인정 받고 싶은, 토익 만점을 받아야만 하는 사람들에겐 어울리지 않는 글이기도 하다. 이 글은 오히려 눈이 하나 뿐인 사람들의 이야기다. 눈은 하나 뿐이고, 토익 점수는 반토막이며, 반토막난 토익 점수로 매겨진 인생 등급 역시 그리 높지만은 못한 사람들이 여기에 있다. 양말 하나의 은혜로 이단에 몸을 던진 아버지, 아폴로 13호교를 믿고 있는 요코, 누구보다 달콤한 '풀'을 재배하면서 아내와 2년간 대화 한 번 하지 못한 스티브. 

그들의 인생점수는 반토막이다. '눈 두 개 있는 것이 당연한' 세상에서 그들은 모두 외눈박이다. 하지만 맛있는 바나나를 먹는 데에 눈은 별로 필요없다. 평양식 물냉면을 먹기 위해서, 2년간 별거한 부부가 한 테이블에 앉기 위해서 반드시 눈이 두 개일 필요도 없고 토익 만점이 필요한 것도 아니다. 삶의 질을 판단하는 기준은 너무나 다양하고 그게 꼭 토익일 필요는 없는 거다. 남편과 대화를 하지 않아도 한국어를 배우는 속도는 빠를 수 있고, 아내와 대화를 못하고 한국어 배우는 속도는 느릴지언정 키우는 바나나는 맛있을 수도 있는 거다. 토익 점수 좀 부족하다고 인생이 망하지 않는다. 눈이 하나 없다고 죽는 것도 아니다. 

그게 인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