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부였던 사람이 떠나갔을 때 태연히 밥을 먹기도 했다 (무지개 리커버 에디션) - 개정증보판
박근호 지음 / 필름(Feelm) / 2020년 5월
평점 :
절판
사람의 고정관념이란 참으로 무섭다.
내가 이 책의 제목을 처음 봤을 때 떠오른 것은 연인간의 이별이었다.
하지만 책을 읽으면서 내 생각은 전적으로 오류 덩어리였음을 단 몇 페이지만에 깨달을 수 있었다.
나에게 전부인 사람은 그저 연인 뿐이었을까?
이 글을 읽고 있을 당신에게 전부는 누구인가 물어보고 싶다.
<전부였던 사람이 떠나갔을 때 태연히 밥을 먹기도 했다>가 제목일 수밖에 없는 이유를 생각해봤다.
그리고 이 책의 저자 박근호 작가는 독자들에게 무엇을 말하고 싶었는지도 조금은 알 수 있었다.
전부를 다 안다면 그것은 거짓일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우린 이 글을 쓴 작가가 아니기에..
때론 우린 상대방의 몇 마디를 듣고 그 사람의 모든 것을 다 안다고 자만할 때가 있다.
그러나 이 책에선 도무지 그렇게 말할 엄두가 나질 않는다.
총 3부로 되어있는 이 산문집은 1부의 몇 페이지를 넘기지 못한 시점부터 가슴을 먹먹하게 만든다.
처음에는 일기를 쓰듯 서문을 열더니 시를 읊조리다 이후 누군가에게 편지를 쓴다.
읽으면 읽을수록 미어질 듯한 느낌을 주체할 수 없는데 작가는 아이러니하게도 담담하다 못해 태연한 느낌마저 든다.


이 책은 한번에 다 읽을수도 없었다.
읽다가 눈물이 자꾸 쏟아져서 눈앞에 물웅덩이가 맺히듯 흐려서 한 글자 한 글자 읽기가 힘들었다.
그럼에도 자꾸 읽어내려가고 싶었던 이유는 그의 순수한 마음을 공감하고 위로하고 싶어서였다.


일면도 없는 작가는 글을 통해 독자에게 자신의 진심을 여과없이 드러내며 한 걸음 한걸음씩 다가온다.
자신의 가족과 연인을 떠나보낼 때 누구나 한번쯤은 겪었을 감정들이 산문집 곳곳에 흩어져 있다.
누군가를 위로할 때도 위로를 받을 때도 삶의 저만치에서 바라보듯 '다 괜찮으니 힘들어도 견뎌봐'라고 응원해준다.
이러한 응원과 위로가 진심으로 와닿았던건 삶의 무게를 짊어져본 자만이 드러낼 수 있는 여유와 내공에서 나왔기 때문은 아니었을까.
마지막 페이지까지 읽는데 한참이 걸렸다.
이 페이지를 덮는 순간 작가와 멀어질 것 같은, 이 위로가 끝날것만 같은 두려움 때문에.
하지만 두고두고 읽을 수 있음에 감사하며 오랜만에 진심이 느껴지는 작품을 만나 행복했다고 전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