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행 1 - 하버드에서 화계사까지
현각 지음, 김홍희 사진 / 열림원 / 1999년 11월
평점 :
절판


현각스님의 “만행”이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으니 마음이 더할 나위 없이 흐뭇하다. 우리나라사람들도 앞으로 희망이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마구 든다. 나는 요즘 우리 영혼의 환생을 믿지 못하는 사람들이 안타깝다. 어떻게 보면 환생이 인과응보요, 예수의 원인과 결과의 법칙이 적용되는 것인데도...

현각스님이 처음 한국에 와서 한국의 기후와 분위기에 대해서 맘에 들어하는 부분도 감동이 오지만, 저녁 늦게 날마다 나오는 애국가 소리에 영문도 모르게 눈물을 흘렸다는 부분을 보고 정말 이런 인연의 끈이 이어져 있으니까 미국에서 사랑하는 가족도 모두 뒤로하고 숭산스님을 따라 올 수 있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만일 윤회를 믿지 못하는 사람이 있다면 진실로 그것이 사실인지 아니면 누군가의 흑심에 의해 그렇게 유포되었는지 많은 자료를 읽고 찾아본다면 진실은 밝혀질 것으로 믿는다. 진실은 아무리 덮으려고 해도 해어진 틈을 비집고 세상 속으로 나올 수밖에 없으며, 거짓으로 꾸민 진실은 아무리 그 입을 맞추려고 해도 언젠가는 그 속 모습이 밖으로 드러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윤회를 믿지 않는 사람이 현각 스님의 만행을 보겠는가 마는 혹시 본다면 그 윤회 인연의 절실함을 느끼고 “티베트의 지혜” 참고문헌에 기록된 많은 환생관련 자료를 추적해본다면 환생을 믿지 않을 수 없으리라. 물론 그런 자료를 보지 않고도 국내에 나와 있는 환생관련 번역서나 자료를 보더라도 믿음이 갈 것이지만...

기독교에서도 예수의 가르침 이후 초기 기독교에서 윤회와 환생은 정식으로 인정되던 교회신학의 일부였다. 서기 2세기경 로마에 최초의 기독교학교를 설립했던 순교자 유스티누스(Justinus)는 환생을 가르쳤다. 이처럼 초기 기독교 역사의 약 400년간 환생설은 보편적인 교회 가르침의 일부였다.

그러나 종교와 권력이 결탁하면서, 개인적인 노력과 발전으로 영혼의 구원이 가능하다면 교회와 황제의 권위가 무너진다는 정치적 우려에 따라 윤회를 가리키던 당시의 용어인 [선재론(先在論)]의 개념이 교회신학에서 삭제되었다.(우리는 영원히 헤어지지 않는다. 정신세계사 참조)

“만행”은 우리의 환생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