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이 흐린 날엔 그림책을 펴세요
야나기다 구니오 지음, 한명희 옮김 / 수희재 / 2006년 11월
평점 :
절판


‘지금, 어른이야말로 그림책을’

야나기다 구니오씨가 내세운 슬로건인데요.
백만 번 공감 가는 말이에요.

‘그림책은 인생에 세 번’이란 먼저 자신이 아이였을 때, 다음에는 아이를 기를 때, 그리고 세 번째는 인생 후반이 되고 나서, 라는 의미다.        165쪽.
 

이 중 첫 번째 시절을 나는 못 겪어서, 세 번째는 아직 오지 않은 날이라서
내가 느낄 수 없는지라 그 부분은 패스하고요.
제가 이야기 할 수 있고, 백만 번 공감하는 두 번째 경우에 대해 얘기할게요.

아이를 임신했을 때 앞으로 아이의 풍족한 삶에 보탬이 될 수 있길 기대하며 책을 많이 읽었어요.
아이가 태어나, 100일이 지나면서 그림책을 읽어주기 시작했지요.
내 아이가 책을 좋아했으면, 내 아이가 책을 많이 읽었으면 하는 마음 밑바탕엔 솔직히 말해, 독서로 인해 내 아이가 조금 더 똑똑하게 자랐으면 하는 바람이 있었어요.

적어도 아이가 세 살이 될 때까지도 그 마음이 밑바탕에 있었지요.
그러던 것이 아이를 위해 어떤 책을 읽어주면 좋을까 에서 시작해
좋은 책을 고르기 위해 여기저기 정보를 찾아 헤매면서 생각이 바뀌었어요.
 

책은, '즐거움을 위한 도구'임을 깨닫게 된 것이지요.   

그 즐거움이 살아가는 큰 힘이 됨은 두말 할 필요도 없지요.

이런 깨달음(호호)을 얻기까지 
누군가에게 상처를 주기도 했고, 상처를 받기도 했고요.
지금은 다 내 안에 좋은 경험의 보약으로 남아 저를 키우고 있지만 그때는 정말 많이 아파했어요.
덕분에 그런 시간들을 겪으면서 아이를 위해 어떤 책이 좋은지 서서히 눈 떠가기 시작했지요.
뭐, 아직도 먼먼 길이지만 조금씩 알아가는 시간들이 얼마나 기쁜지 몰라요.
무엇보다 좋은 점은 아이 책을 고르면서 제가 그림책을 무척이나 많이 좋아하게 되었다는 사실 이에요.
 

이 책을 읽으면서 정말 많이 공감했답니다.
‘그림책은 아이만 읽는 책이 아니다.’
‘글자를 모르는 아이들을 위해 그림으로 덧 설명하는 것이 그림책이 아니’라는 것을 아이에게 그림책을 읽어주면서 알게 되었거든요.
아이보다 내가 먼저 감동하고
아이보다 내가 먼저 가슴이 뿌듯해지기도 하고
위로도 받았거든요.
 

“그림책은 어른이 되어(특히 인생 후반이 되어) 읽으면 
  삶과 생명과 사랑에 대해 작품에 담긴 깊은 의미를 강하게 느낄 수 있다.” 

“인생은 노년이 되면 내리막길이라 하지만 마음의 세계는 죽을 때까지 계속 상승해 간다.”

“판타지의 감성을 잃지 않도록 마음을 가꾸는 자세가 필요하다.” 

“매월 2만 원을 그림책에 투자하되, 특히 마음에 드는 작품을
‘늘 곁에 두고 읽는 그림책’으로 삼으면 그것이 마음의 재산이 된다.”

“어른이 그림책을 곁에 두고 읽으면 반드시 아이도 바뀌게 된다.”     168쪽.

힘이 들고, 지치는 날엔 그림책을 느껴보세요. 분명 위로 받으실 수 있으실 거예요.
그림책이 아픔을 치유해주는 마법의 약이 될 수도 있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