팥죽 할멈과 호랑이 - 2004 볼로냐아동도서전 수상작 꼬불꼬불 옛이야기 1
서정오 / 보리 / 199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방송관계자들이 왜 시청률에 예민하게 반응하는지 알겠어요.
나는 분명 이 드라마가 좋은데, 드라마 구성도 좋고, 스토리도 좋고, 연기도 좋고~ 다 좋은데 왜 사람들이 안 좋아할까..?
나와 코드가 안 맞는걸까...?
 

이상하게 저는 시청률이 높은 드라마는 안 보게 되더군요.
시간내서 티비를 보는지라 정말 제가 좋아하는 위주로 보려고 하지요.  

하지만, 특별히 좋아하는 작가가 시나리오를 썼다거나, 좋아하는 배우가 나온다면 이야기는 달라지죠.
믿음.. 믿음이 있거든요. 분명 내가 좋아할만한 뭔가가 있을거라는 믿음 말예요.

뜬금없이 시청률얘기냐고요? ㅎㅎ
독서에도 시청률과 비슷한  인기도가 있더군요.
울집 녀석이 36개월이 되기전부터 전래동화를 읽어주려고 애쓴적이 있어요.
제가 들어서 머리로, 마음으로 기억하는 옛날이야기가 너무 부족해서 <도토리 신랑>을 이용했지요.
헌데, 녀석의 반응은 시큰둥 그 자체였어요.
그래서 전래동화는 더 있어야 하는가보다. 하고 미루고 있었지요.

으하하 반응이 180도 바뀌었어요.
어제 밤에 두번, 오늘 아침에 한번, 자꾸 읽어달라고 하네요.
울집 녀석은 같은 책 반복이 심해서 새로운 책은 한참 뒤에 읽고는 (정확히는 읽어달라고 ^^) 했는데요.

이 책은 보자마자 마음에 쏙 들나봅니다.
자꾸 읽어달라고 하네요. 

시청률이 높다는건 나와 비슷한 공감대가 형성되는 사람들이 많다는 의미로 해석해도 되겠지요..?   아이가 제가 좋아하는 책을 읽어주는 마음도 바로 그것과 같다는 생각을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