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2년생 김지영 ㅣ 오늘의 젊은 작가 13
조남주 지음 / 민음사 / 2016년 10월
평점 :
나는 82년생이다.
소설 속 주인공 김지영씨와 동년배. 실제 내 동갑내기 친구 중에 김지영이 있다. 이지영도 있고, 민지영도 있고 뭐 그렇다.
82년생 지영이들에게 물었다. 살면서 82년생이 특별하다거나, 지영이가 특별하다고 느껴본적이 있느냐고? 특히 82년생 김지영이는 둘 중 어느 것도 특별하다 느껴본 적이 한번도 없다고 했다.
이렇게 평범하고 이렇게 보편적이고 이보다 더 보통일 수 없는 생애를 살아왔다고 자부한다나.
이 지점에서 이 작품이 당위성을 얻는다. [82년생 김지영]은 수많은 지영이, 비슷한 연배의 수많은 젊은 여성들의 삶이 보편적으로 어떤 환경 속에서 흘러가는지를 포착하기 때문이다.
언젠가 한번은 반드시 나와야 할 소설이었다, [82년생 김지영]은.
조선시대 중후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가정이 (혹은 가문이) 여성들의 땀과 피를 빨아먹고 건사되지 않았는가? (내가 이런 주장을 하는 이유 중 하나가 ‘열녀문’이다. 남성들이 여성을 강간하고 그 강간한 죄를 물게 할 수 없으니 여성더러 자결하라며 사회 전체가 압박을 준 것 아닌가. 강간 당한 것도 억울한데 자기 손으로 목숨까지 끊어버린 한많은 여자들에게 열녀문을 세워서 상을 준, 짐승도 못할 미친 짓이 바로 열녀문이다.) 소설 속에서도 등장하지만 연세가 많은 어른들은 ‘옛날 엄마들은 애 낳고 다음날 밭 매러 가고 그랬어.’같은 이야기를 꺼내시며 요즘 여자들이 살기가 편하다는 둥 신세가 폈다는 둥 하시는데, 그럴 때마다 우리 어머니가 꼭 한번씩 응수하시는 말씀이 있다. ‘몸을 그렇게 혹사시키니 죽을 때까지 무릎 관절, 고관절, 손목 관절 다 골골대잖아요. 등도 구부정하게 휘어가지고.’. 언젠가 우리 아버지가 옛날 드라마를 보시면서 ‘와, 세상이 참 좋아졌어.’ 하시기에 함께 시청하시던 어머니께서 ‘그렇지. 여자들 있는 대로 고생시켜가면서. 저 드라마도 봐. 여자들 엄청 부려먹어, 노예처럼.’ 라고 응수하시기에 아버지는 더 아무 말 못하셨던 적도 있다.
이런 역사를 거쳐 온 대한민국은 적어도 이제는 여성(딸 혹은 며느리)을 사회 혹은 가정의 제일 말단에 놓고 부려먹는 일만큼은 멈춰야 하지 않겠나?
그런데 이 부분이, 바로 이 지점 때문에 이 책은 위험하고 의도적인 소설이 된다.
한국 여성으로 살아가는 것의 어려움을 이해하지 못하는 남성들을 악의 축으로 몰아가는, 내 또래 여성들 대부분이 공감하는 이 성차별의 원인이 마치 남성이 나쁘기 때문이라고 말하는 듯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위험한 소설이다. 남성들도 이 왜곡되고 편파적인 가치관과 사회적 인식의 피해자다.
초등학교를 다닐 적 같은 반에 말투가 곱고 얌전하고 얼굴이 하얀 남자 아이가 있었다. 그 아이는 심지어 울 때 손바닥으로 살포시 얼굴을 감싸고 울었다. 여느 남자아이들처럼 주먹 쥐고 눈물을 닦아내는 투가 아니었다. 그 아이는 남자아이들로부터도, 여자아이들로부터도 놀림을 많이 받았다. 너는 여자애냐, 남자애냐. 지금 생각해보면 그 아이는 단순히 또래 남자아이들보다 섬세하고 순하고 소심한 심성을 지녔을 뿐인데. 아마 그가 초등학교 때의 성품 그대로 자랐다면 ‘사내 새끼가 오죽 못났으면 여자한테 말 한 번 못 걸어보느냐’, ‘사내 자식이 그 정도도 못 참냐.’, ‘남자가 처자식 건사는 할 줄 알아야지’ 따위의 말들을 들으며 성장과정 내내 시달려야 했을 것이다. 성역할과 성격에 대한 고정관념, 500년 된 유물이나 다름없는 이런 것들에 피해를 입는 것은 여성들만이 아니다.
나는 이 책에서 주인공 김지영 씨가 겪어온 현실을 부정하는 입장이 아니다. 오히려 내 일기장을 훔쳐다 쓴 듯한 에피소드가 너무나 많아 정말 나를 모티프로 한 소설을 읽는 기분이었다. 나와 같은 독자가 대한민국에는 너무나 많다. 69쇄를 찍을 정도로 생산한, 이 책의 판매부수가 이 책이 얼마나 어마어마한 공감을 얻은 책인지를 방증한다.
뿐만 아니라 김지영 씨가 남편 정대현 씨하고 아이 낳는 문제로 씨름을 벌일 때, 김지영 씨가 아이를 낳게 되면 남편은 몇 가지가 바뀌는 것이지만, 자신은 잃는 게 너무나 많아서 쉽게 결정할 수 없다는 마음을 토로하는 부분은 우리나라의 저출산 문제의 핵심을 찌른 부분이라고 생각될 정도로 좋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조심스럽게, 예민하게 읽어야 하는 소설이기도 하다. 김지영 씨를 진찰하는 의사를 남성으로 설정하고 그 의사가 김지영 씨를 이해하는 것처럼 했지만 결국 직원을 뽑는 문제에 있어서 어쩔 수 없는 성차별 인식을 드러낼 때, 이 책은 마치 사회적 성대결을 원하는 책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자신을 그리고 타자를 사람으로 제대로 인식하고 대우하고 존중하는 법을 가르쳐야 한다. 그런 인식, 사람을 사람답게 인지하는 가치관, 세계관을 형성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그런 교육 없이는 자신이 가볍게 여긴 행위가 여성에게는 공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평생에 걸려도 알지 못하는 남성들이 끊이지 않을 것이며, 상대가 남성이라는 이유로 족쇄나 다름없는 프레임을 씌워놓고 그것이 상대를 괴롭게 하는 것임을 죽을 때까지 모르는 여성들이 끊이질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