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뜻으로 읽는 한국어사전 - 거리의 말들을 주워 새로운 역사의 화살표로 재창조하는 한국어 뜻풀이
이어령 지음 / 문학사상 / 2008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본 우리말에 대한 책이다. 우리 말, 한자말, 서양말. 이 세 가지 분류의 여러 단어들이 새로운 의미와 새로운 뜻으로 단장하고 이 책에 실렸다.
그 단어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뜻이나 유래, 탄생 배경도 재미있지만 저자가 새롭게 바라본 단어를 만나는 일도 무척 재미있다. 교양도 있고 재치도 있는 저자의 글은 십여 년 전의 글임에도 여전히 매력있다.
한자를 보면 꽃에 관한 두 글자가 등장한다. 하나는 화華이고 또 하나는 영榮자이다. 화자는 워낙 복잡해서 우리가 지금 사용하고 있는 꽃 화 자의 약자에 의해 대용되어 왔으면서도 용케 살아남은 글자이다. 화 자에는 십 자가 여섯 개가 들어 있고 거기에 일 자 한 개가 들어 있어 그 수가 모두 61이라 회갑 년을 뜻하는 글자로도 애용되어 왔던 것이다. 그러나 이 화 자의 원래 뜻은 잎과 꽃잎이 늘어져 있는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 모란이나 작약같이 문자 그대로 커다란 꽃을 나타낸 것이라고 한다. 화려하다고 할 때의 화 자가 바로 그 뜻을 반영하고 있다. 그러니까 잡초에 피는 꽃이나 벚꽃같이 자잘한 것들은 화라고 부르지 않다.
그와는 반대로 작은 꽃들이 무리 지어 피어 있는 것은 영이다. 즉 한 송이 두 송이 피는 꽃들이 아니라 마치 수목을 둘러싸고 불타 오르는 것처럼 무리 지어 피어나는, 바로 개나리 같은 것이 영인 것이다. 영 자를 자세히 뜯어보면 화 자와는 달리 나무 위에 불이 활활 타고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그래서 모란같이 탐스러운 꽃송이와 개나리같이 불꽃처럼 타오르는 군집적인 꽃을 모두 합쳐 영화라는 말이 태어나게 된 것이다.
38-39쪽 개나리 _ 문명의 봄을 몰고 오는 피플 파워
저자는 책 속 어느 글에서 '장미는 장미라고 부르지 않아도 향기롭다'는 셰익스피어의 명언을 인용했다.
나도 동의한다. 장미는 장미라는 이름이 없어도 향기롭다. 하지만 장미라는 이름을 얻었을 때 비로소 장미는 기억된다. 세상의 수많은 존재들 중에 그 존재의 자리와 위치를 당당히 새겨 넣는다.
나는 그것이 말의 역할이자 사명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의 내용은 알뜰살뜰한 재미와 읽는 보람을 함께 준다. 먼지 묻은 단어들에 새옷을 입힌 저자의 손길을 타고 많은 단어들이 새롭게 기억되고 새로운 위치를 찾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