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에서 경영을 가꾸다 - 관찰학자 최재천의 경영 십계명
최재천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가장 중요한 건 생명 그 자체다. 살아있다는 것. 호흡을 하고 변화하고 반응하는, 살아있다는 것. 나의 생명이든, 다른 존재의 생명이든 생명의 가치란 무엇에도 비길 수 없다. 생명은 단 하나라서 한 번 꺼져버리면 어떤 것으로도 되살릴 수 없으니까.

 

삶이 피폐해지는 순간은 이 생명의 무게와 가치에 대해 희미해지거나 잊어버리게 되는 순간인 것 같다. 내 존재가 귀한 것은 내가 세상에 하나뿐인 존재라거나, 내가 어떤 잘난 능력이 있어서가 아니라 내가 살아있기 때문이다. 생명의 무게를 그런대로 짊어지고 생명의 가치를 부질없이 소비하지 않고 어쨌든 오늘 하루 호흡하고 변화하고 반응했기 때문이라고, 그래서 귀한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이런 생명의 가치를 아는 사람은 세상의 그 어떤 학문을 하건, 어떤 일을 하건 간에 빛이 되는 법이라고 나는 믿는다.

 

공식적으로 세계적인 석학이라고 소개되고, 방송에도 많이 나오셨다는 최재천 교수를, 나는 이 책을 통해서 처음 알았다. 국립생태원의 존재도 이 책을 통해서 처음 알았다. 첫눈에 본 사람한테는 호감을 잘 못 느끼는데, 첫눈에 본 국립생태원에게는 단번에 호감을 느꼈다. , 내년에 꼭 여기를 가보고 말리라.

 

생태원이라는 장소 자체에 대한 동경과 선망 때문에 저런 목표를 세우긴 했지만 그게 다는 아니다. 국립생태원을 가보고 싶게 만든 또 다른 매력은, 이 생태원을 이끈 최재천 교수의 가치관과 경영관이다. 모든 생명에게서 배운다, 남보다 너무 많이 가진 건 결코 자랑이 아니다, 세상은 군림君臨이 아니라 군림群臨으로 유지된다, 두뇌 하나가 두뇌 열 또는 백을 능가할 수는 없다 등등 그의 경영 철학 혹은 삶의 철학은 정말 매력적이고 배울 점도 많다. 무엇보다도 생명을 존중, 아니 사랑하는 사람은 정치를 하든, 경영을 하든, 연구를 하든 결국 옳은 일을 한다는 내 가치관에 확신이라는 무게를 실어주었다.

 

이런 경영자가 더 많아진다면 우리나라는 적어도 불의와 부패 그리고 부조리 때문에 몸살을 앓는 일이 점차로 줄어들다 결국 사라지지 않을까.

 

개미처럼 작은 곤충 하나도 존중하고, 숲 어귀에 싯구와 함께 낭만을 새겨 넣는 멋이 있는 학자 그리고 경영자.

 

여러 가지로 많은 걸 배우고, 느끼게 한 책이다.

 

[숲에서 경영을 가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