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가의 품격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성숙한 시민을 위한 교양 수업
짜우포충 지음, 남혜선 옮김 / 더퀘스트 / 2017년 7월
평점 :
절판
현실의 부조리가 제일 견디기 힘들고 어려운 순간은, 이 부조리를 오직 나만 느끼고 있다는 고독함이 덮치는 순간이다.
나 외에는 누구도 이것을 부조리라고 이야기하지 않을 때, 분명 저것이 잘못된 것인데 아무도 저것을 잘못이라고 하지 않을 때. 그때만큼 외롭고 고독하고 지치는 때가 또 있을까.
그런 순간에 가장 힘이 되는 것은 ‘저것은 부조리하다’고 말하는 또 다른 목소리다. 설령 그 목소리가 아주 작을지라도, 단 한 명이 속삭이는 은밀한 고백일지라도, 그것은 힘이 된다. 그 무엇과도 비할 수 없는 큰 힘이.
그 목소리는 공감과 교감이라는, 거대한 태풍의 씨앗을 품고 있다.
그 목소리는 다가올 분명한 변화를 예고하고, 고독에 싸매여 있던 나를 풀어 저 높은 장벽 위로 뛰어오르게 만든다.
[국가의 품격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의 저자는 마치 저 목소리 같다.
국가는 무엇이고 시민은 무엇인지, 우리는 사춘기를 겪는 청소년들처럼 이 깊고 육중한 고민을 앓고 있다. 참다운 평등이란 어떤 것인지, 권리와 평등은 양립할 수 있는지, 나랏님도 구제 못한다는 가난은 정말 어쩔 수 없이 개인이 해결해야만 하는 십자가인지, 민주주의 사회에서 종교란 대체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지. 이와 같은 고민들을 해결하지 못해서 우리들은 서로의 입장이 다르다는 이유로 싸우고 불신하고 비난하고 때로는 폭력까지 행사하며 우리들의 시간을 살아가고 있다.
그러한 우리들의 시간은 마냥 낭비되고 버려지기만 하는 것은 아니다. 분명히 아니라고 나는 기대한다. 이 시간들을 통해서 서로 논쟁하고 토론하고 합의하고 변화하고 조율하며, 이 과정들을 통하여 품격있는 시민들이 탄생하고 결국 이들이 품격 있는 국가를 건설하는 것 아닐까.
나는 이 책의 제목이 참 좋다. 국가의 품격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이는, 국가의 품격이란 만들어야만 있는 것이며, 애써 만들지 않으면 없어지는 혹은 아예 갖출 수 없는 것이라는 바탕에 깔고 있다. 이런 고민을 함께 해나가며 논쟁하는 사람들이 있는 국가야말로, 품격을 이미 그 바탕에 품고 있는 국가이리라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