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의 인간학 - 약함, 비열함, 선량함과 싸우는 까칠한 철학자
나카지마 요시미치 지음, 이지수 옮김, 이진우 감수 / 다산북스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말 재미있게 읽었다. 한 구절 한 구절 곱씹으면서 읽은 책은 정말 오랜만이라, 읽는 데에 더 많은 시간이 걸렸다.

니체의 철학과 니체라는 인간을 자신의 신념대로 분석한 저자는 일본의 유명한 철학자라고 한다. 저자와 저자의 저서에 대해 솔직히 이야기하자면 괴팍한 인물이 또 다른 괴팍한 인물을 괴팍하게 분석한 책이라고 해야 어울릴 것 같다.

 

저자는 현재 일본 사회내에 퍼져 있는 니체 찬양에 대한 강한 반감을 숨기지 않는다. 오히려 이토록 공격적인 혈기를 못이기시는 양반이 평소에는 어찌 사시나, 걱정이 될 정도로 어마어마한 전투력을 발휘해서 이 책을 썼다. <니체의 인간학>. 니체 철학에 열광하면서도 그 철학대로 실천하려는 용기 따윈 없는 '착한 인간'들이 얼마나 기만적인가를 폭로하는 동시에 니체 본인조차도 그런 나약한 인간이면서 그런 약함을 감추는 까칠한 철학관이 탄생했다고 주장하는 책이다.

 

책 내용에는 일본사회를 잠식하고 있는 기만과 노예근성에 대한 저자의 통렬한 비판과 니체 사상을 찬양하지만 수박 겉핥기식으로만 접근할 뿐 그 근본과 실천의 단계에까지는 다가가려고 하지 않는 게으른 습성에 대한 저자의 분노 그리고 니체 철학 사이사이에서 저자가 발견해낸 나약함과 자기기만에 대한 비웃음이 복잡하게 섞여 있다.

 

그래서 이 책은 정신을 바짝 차리고 읽어야 한다. 저자는 니체를 설명하려고 하는 게 아니다. 일본사회를 그리고 무리라는 방패 뒤에 숨기를 자처하면서도 개인의 이익을 포기하지 않는 비열하고도 용기 없는 연약한 자들을 쥐어패려고 니체 철학을 무기로 사용하고 있을 뿐이다. 아무 생각 없이 읽다보면 니체를 니체대로가 아닌 '나카지마 요시미치'라는 프레임에 분산된 니체로 받아들이게 된다. 그래서 이 책을 감수인 이진우 교수는 이 책의 머리글에서 '니체 철학을 정식으로 이해하고 싶은 사람에게는 이 책을 추천하지 않는다'고 미리 안내를 한다.

 

니체와 그의 철학을 이해하려는 시도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우리 사회의 병폐들이 어디서부터 왔고 누가(어떤 습성을 지닌 자가) 이 병폐의 숙주인가를 알기 위해서라면 이 책은 아주 적합한다. 저자인 나카지마 요시미치는 일본 사회에 팽배한 갖가지 모순과 기만들이 얼마나 웃기고 나쁜 일인지를 설명하는데, 그 일들은 단순히 바다 건너 일본에서만 일어나는 일이 아니다. 익명의 우산 아래 온라인에 난무하는 각종 쓰레기 언어, 거짓말을 일삼는 미디어, 상향평준화가 아니라 하향평준화로 무리들을 끌고 내려가는 우리 자신의 현실이다.

 

착하다/나쁘다의 기준이 어떻게 약하다/강하다와 결합하게 되는지를 서두에 설명한 저자는 이후로 이 약해서 착한 자들이 어떤 모순 속에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지를 세밀하게 정리했다. 저자의 독하고 신랄한 비판을 따라가다보면 여러번 가슴이 찔린다. 약자라는 껍질을 쓰고 나는 때로 폭력을 휘두르고 자기를 속이고 안온하지만 나태한 기만 아래 숨어 있던 적은 없는가. 약하니까 선하다는 인식을 일부 가지고 있는 것조차도 착한 사람의 프레임에 갇혀 있는 것이라는 걸, 이 책을 읽으면서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특히 '갈등'을 다루는 부분에서 나는 이 책을 읽는 게 기쁘기까지 했다. 갈등은 필요하다. 갈등을 피해 달아난 곳에 평안과 발전이 있는 건 아니다.

하지만 발전과 변화를 위해 어디까지의 갈등이 적합하냐에 대한 또 다른 논의를 낳으므로 이건 더 신중하게 생각해봐야 문제이기도 하다.

 

책을 흥미진진하게 읽긴 했지만, 그렇다고 저자가 니체를 해석한 내용에 대해 지지를 보내진 않는다. 저자 본인이 이야기하고 싶은 방향에 맞춰서 니체의 말을 갖다 붙인게 아닌가 싶은 부분도 여러 군데고 무엇보다 저자 자체가 극도로 신랄하다. 노예적으로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각성이 필요하다는 것에는 동의하나, 그렇다고 현대인이 맺고 있는 모든 관계를 노예적이라고 치부하는 것은 너무 오만하고 고압적인 시선 아닌가. (물론 이 부분은 니체 철학을 가져와 해석한 내용이기 때문에 그랬을 수 있다. 이래서 저자는 에피로그에서 '니체의 사상 앞에서는 거의 모든 인간은 살 가치가 없어진다'고 언급했는지 모른다.)

 

 

어떤 몰락이든 거기에 성의가 있는지 없는지는 곧바로 구분할 수 있다. 몰락을 향한 행동이나 몰락을 향한 삶의 방식이 그 사회가 용인하는 범위 내에 있으면 그 몰락에는 성의가 없다. 성의 있는 몰락이란 에도시대의 기독교 신자처럼, 제2차 세계대전 전의 공산주의자처럼 신변이 위험해지는 몰락, 주위 사람들에게 커다란 재앙을 초래하는 몰락이다.
그러면 니체가 말하는 진정한 몰락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이천 년도 더 된 유대교적이고 기독교적인 가치관에서 완전히 자유로워지는 것이다. 현세에서 얌전히 지내면 내세에서 보답 받는다거나, 약하고 선량한 자만이 천국에 갈 수 있다는 등의 옛날이야기를 버리는 것이다. 육체를 경멸하고 힘을 경멸하며 진부한 정신의 덩어리로 인생을 보내기를 그만두는 것이다.
10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