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곤의 문제
J.A.홉슨 지음, 김정우 옮김 / 레디셋고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엇을 빈곤이라고 정의할 것인가.

우리 시대에 정확한 경제개념에는 저 질문에 대한 답이 반드시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명절을 앞두고 배추와 과일값 등 생활물가가 거침없이 오르고 있는 중이다.

배추 한 포기에 만 원이 넘는다고 기사까지 난 마당이니, 가정경제마다 깊은 주름이 패이는 것은 말해 입아플 정도.

'월급은 오르지 않는데 물가만 올라가니 이거 살수가 없다'는 시민들의 원성이 수년간 이어져 왔지만 어느 누구도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냉수처럼 시원한 해법을 가지지 못한 것 같다.

이제까지 서민이라면 누구나 해온 이 고민을 앞으로도 계속 해 나가야 할 거라는 예상이 들어 막막할 뿐이다.

 

이단적인 경제사상으로 학계의 배척을 받았다는 J.A.홉슨의 [빈곤의 문제]는 오늘날 한국사회가 당면한 (비단 한국사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지구적인 현상이지만) 이 암담한 현실을 미리 내다보기라도 한 것같은 책이다. 그가 생존했을 당시에는 많은 경제학자들이 그의 이론과 주장을 비판했고 비난했다고 하나 인간은 항상 '뭣이 중헌디'에 대한 정확한 답을 아주아주 나중에나 발견하게 되는 존재들 아닌가. 홉슨의 주장을 비판했던 학자들이 아직도 살아 있다면 그의 주장에 어느 정도 고개를 끄덕이지 않을 수 없을 듯하다.

 

나는 '가난'이 비극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한번도 풍족하고 부유하게 살아온 적이 없는 나의 궤적을 돌아볼 때 나는 가난해서 비극을 겪은 적이 한번도 없었다.

살림살이가 넉넉하지 못한 것은 흉도 아니고 비극도 아니고 불편하기는 하지만 아예 살지 못할 정도의 그런 고됨은 아니다. 그렇게 생각했었다.

하지만 지금은 모르겠다.

세상은 '가난'을 비극으로 만드는 데에 망설임이 없다. 점점 더 그렇게 되고 있다. 그래서 무섭다.

실상을 잘 살펴보면 오늘날 먹을 것 입을 것이 진짜로 아무것도 없어서 궁핍한 사람은 많지 않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자신을 빈곤층이라고 여긴다.

문제는 이거다.

남들이 먹는 것을, 가진 차를, 입는 옷을 나는 못 먹고 못 가졌고 못 입기 때문이다.

'갖고 싶은 것과 가질 수 있는 것'사이의 편차가 너무너무 크다. 이것은 이전에는 느끼지 못했던 새로운 개념의 빈곤이다.

우리의 세상은 '진짜 아무것도 없는 것''내가 갖고 싶은 게 없는 것'이 별반 차이가 없는 세상으로 가고 있는 것 같다.

 

 

누군가는 이런 문제에 대하여 물질만능주의에 젖은 사람들이 눈만 높아져서 그런 것이므로 욕심을 버리라고 조언한다.

하지만 이런 접근은 부를 가진 자가 못 가진 자에게 행하는 횡포를, 갑이 을을 착취하는 상황을 정당화하는 개념이라고 생각한다.

만원 짜리 점심을 먹는 사람들 사이에서 천원짜리 점심을 먹으면서 빈곤을 느끼는 건 당연한 일 아닌가. 욕심이 많아서, 사치하는 사람이라서가 아니다.

5만원짜리 스테이크를 먹고 싶다는 것도 아니고 다만 5천원짜리 찌개라도 먹고 싶다고 토로하는 사람들에게 '네 연봉에 적합한 소비를 하라'고 말하는 자본주의는 나쁜 자본주의다.

'풍요 속의 빈곤'은 사람들이 사치와 향락에 젖어서 생겨나는 것만은 아닌 것 같다.

밤낮없이 일하고 인간이기를 포기하지 않는 수준의 소비만을 해도 빈곤에서 벗어니지 못하는 사람들이 너무나 많다.

 

 

[빈곤의 문제] 역시 이런 고민과 시름에 대해 시원한 해답을 제시하지는 못한다.

2016년대의 문제에 대해 백년 전의 경제학자가 해답을 가지고 있을 거라고 기대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어떤 경제개념이 우리에게 필요한가, 빈곤과 빈곤때문에 벌어지는 문제들 그리고 빈곤을 부르는 문제들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도움이 된다.

다만 조금 심란한 것은, 우리가 빠진 이 궁핍한 시절에서 탈출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겠구나, 이런 생각이 든다.

그래서 매우 서글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