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압축세계사 - 5000년 인류 역사의 핵심을 36장의 지도로 읽는다
크리스토퍼 라셀레스 지음, 박홍경 옮김 / 라이팅하우스 / 2016년 4월
평점 :
'5천 년 인류 역사의 핵심을 36장의 지도로 읽는다'는 카피에 반해서 고른 책.
과연 이 기나긴 세계사의 흐름을 지도 몇 장으로 어떻게 읽어내겠다는 것인지 굉장히 궁금했고 또 기대도 많이 했다.
최근 내가 주로 읽어온 역사책들은 스토리텔링에 신경을 쓴, 마치 드라마를 보는 듯한 방식의 책들이 대부분이었다. [압축 세계사]는 이런 스토리텔링에 기울일 노력을 과감히 덜고 속도감 있으면서도 정확하게 이해가 되는 설명 쪽으로 무게를 실었다.
즉, 이 책은 드라마타입이 아니라 교과서타입이란 뜻이다.
저자는 인상깊은 이야기로 책의 서문을 연다.
" 문득 어릴 적에 역사를 더 이상 공부하지 않겠다는 결정을 내려 버렸던 기억이 난다. 엉터리로 배운 데다 기억하고 싶지 않은 날짜들이 홍수처럼 쏟아지는 탓에 흥미를 잃고 말았다. 어디에서 사건이 발생하는지 지리적 정보가 도통 머릿속에 그려지지 않는다는 점도 절망적이었다. 나폴레옹이 워털루에서 대패했다는데, 대체 워털루는 어디에 있는 거지? "
저자의 마지막 의문과 비슷한 의문을 가져보지 않은 사람이 얼마나 될까? 이 비슷한 예로 최근에 내게 벌어진 일은, 최근에 친구들과 영화 [곡성]을 보러 갔을 때 일어났다. 우리는 영화를 보고 나오면서 영화 내용과는 거의 관련이 없는 이슈로 (누구도 의도치 않은) 토론을 해야 했다.
친구1 - 근데 곡성이 어디에 있는 마을이야?
친구2 - 곡성이 실제 지명이었어?
친구3 - 어, 거기 전남 어딘가 그래.
친구4 - 전남? 아닌데. 충남 아닌가?
학창시절, 역사 수업 직후 나의 머릿속 상황이 딱 이 모양이었다. 국사도 국사지만 세계사는 특히 더했다. 헤이그니 베스트팔렌이니 하는 지명들을 참 많이도 들었고 이런저런 날짜들이 저자의 푸념처럼 '홍수처럼' 쏟아졌다. 인류가 걸어온 5천 년의 시간은 세계사 시간에 외워야했던 날짜의 수만큼 다사다난하고 고단했던 것 같다.
서문부터 독자와 폭풍공감으로 포석을 잘 깐 저자는 이후 인류의 기원부터 출발하여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 이 시간에 도착하기까지의 세계사를 매끄럽게 전달한다.
위에서, 이 책은 드라마타입이 아니라 교과서타입이라고 쓴 것처럼, 쓸데없는 감상이나 소소한 내용 설명에 기력을 뺏기지 않는다. 저자는 이 책이 새로운 통찰력이나 신선한 정보를 주기 위한 책이 아니라 밝히고 본문을 시작한다. 이 책은 어디까지나 세계사의 커다란 흐름을 독자들로 하여금 감 잡게 하는 그런 책이라고. 지명과 인명, 사건과 시대가 혼돈의 카오스 속에서 뒹구는 나의 머릿속을 어느 정도 정리해주는 책이라는 뜻이다.
독자가 세계사의 흐름을 잘 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저자의 도움 덕분에 책은 굉장히 재미있다.
세계사 흐름이 뭐 그리 대단한 재미를 주겠냐고 묻는 사람도 있겠지만. 머릿속에 당최 어디 붙어 있는지 알지는 못하는데 꽤 많이 들어서 알고 있는 역사적 장소가 있다거나, 사건은 잘 알고 있는데 누가, 왜 그런 사건을 벌였는지는 기억나지 않는 역사가 있다거나 하는 사람들에게는 무척이나 재미있는 책이다. 책을 읽어나가면 먼지처럼 부유하던 내 머릿속 역사 퍼즐들을 하나씩 꿰어서 큰 그림을 맞추는 기분이 드니까 말이다.
무엇보다 당시의 지도를 곁들여 설명을 풀어가기 때문에 이해가 쉽다. 지도에 현재 국경과 당시의 상황을 동시에 표기한 것도 센스가 넘친다. 21세기를 살아가고 있는 독자가 세계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배려한 점이 돋보인다.
'최고의 세계사 입문서'라는 출판사의 설명에 지지 한 표.
세계사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한 기초가 필요한 많은 사람들에게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