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 황태자비 납치사건 - 개정판
김진명 지음 / 새움 / 201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歷史의 역은 지나다, 겪다라는 뜻이 있다. 역사라는 것은 지나온, 겪은 것의 기록이다. 겪은 것을 적자니 누군가는 전투였다고 쓰고 누군가는 학살이었다고 쓴다. 사람은 겪은 만큼만 쓰게 되는 법이니 말이다. 역사를 두고 팩트나 아니냐를 따지는 것은 그래서 참 어렵다. 누군가에게는 그게 전투였다는 게 팩트고 누군가에게는 그게 학살이었다는 게 팩트다. 입장과 시각의 차이에 따른, 상대적인 것 아닌가. 하지만 그 어떤 시각과 입장의 차이라도 단번에 무효시키는 기준이 있다. ‘희생’. 누가 어떻게 희생을 당했는가? 무엇을 왜 희생당했는가? 흔히 역사는 승자의 편이라고 하지만 틀렸다. 역사가 승자의 편인 것이 아니라 겪은 것의 기록을 대하는 우리들이 희생자가 아닌 승자의 편인 것이다.

 

 

[신 황태자비 납치사건]은 납치극의 긴장감, 범인을 추리하는 짜릿함을 주는 소설이 아니다. 애초에 그런 말초신경의 자극을 위해 쓰인 소설이 아니었다. 작가 김진명의 소설은 언제나 단호한 목적을 지닌다. 승자의 편을 들어 역사를 입맛대로 바라보는 일반적인 시각에 반기를 든다. 누가, 무엇을, 어떻게, 왜 희생당하였는가를 낱낱이 밝힌다. 그리고 독자에게 묻는다. 역사의 새로운 일면을 본 당신은 이제 누구의 편에 서겠는가? 십삼 년 전에 출간되었던 작품을 새로 써 다시 세상에 내어놓은 [신 황태자비 납치사건]을 일관되게 가로지르는 문제의식도 이것이다.

 

 

이야기는 일본의 아름답고 덕망 있는 황태자비가 납치되는 일대 사건으로 시작한다. 수많은 경호원과 검문을 따돌리고 절묘하게 황태자비를 납치한 일당들의 목적은 돈이나 권력이 아니었다. 그들이 요구한 것은 난징대학살과 조선 황후 시해사건의 희생자들에 대한 관심. 그들은 승자들에게 책임을 물었다. 처참한 살해의 증거를 은폐한 사람들, 치욕의 역사를 외면한 사람들. 그들 모두가 승자였다. 그리고 그 승자 속에는, 어쩌면 나도 있었다.

 

 

 

그건 잘못된 생각이야. 역사는 복수로 치유되지 않아.”

선생님, 저는 역사의 복수를 하려는 게 아닙니다. 우리 중국인들의 비겁함에 복수하고자 하는 겁니다. 백 년 전 외국의 군대가 제 나라 백성들을 살육해도 고개조차 못 들던 고관들. 나라의 위신이 깎이고 민족의 정기가 훼손돼도 경제 때문에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오늘날의 정치인과 관리들. 댜오위다오가 나와 무슨 관계냐며

오로지 연예인에만 환호하는 한심한 젊은이들.

저는 황태자비를 죽이고 저 역시 죽음으로써 그 비겁함에 참회하고자 하는 겁니다.”

페이지 403 중에서

 

 

 역사 왜곡, 위안부 문제, 독도 일본령 주장 등등 일본과 한국 간 역사 및 외교 문제는 첨예하다.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내에서 일본과 주변국가와의 (역사에서 기인한) 감정적인 골은 상당히 깊다. 대사관에 위해를 가하거나 특정 국민에 대한 혐오 범죄가 벌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역사라는 유산은 복수 특히, 무력을 사용한 복수로 청산되는 것이 결코 아니다. 복수는 또 다른 희생을 가져올 뿐이다. 역사와 희생자들이 원하는 것 그리고 우리들에게 필요한 것은 외면하지 않는 것이다. 역사의 상속자들은  그것이 치욕의 역사이든 자학의 역사이든 모멸의 역사이든 혹은 엄청난 사죄의 역사든 책임져야 한다.

 

이 책임을 지기 위해 [신 황태자비 납치사건]의 인물들은 목숨을 바치거나 전 생애를 건다. 임선규는 그가 걸어왔던 인생의 길을 뿌리째 흔들어 완전히 새로운 생을 시작했고 펑더화이는 결국에는 그의 죽음으로 역사에 대한 책임을 호소했다. 형사 다나카와 황태자비는 자국 역사의 민낯을 만난 후 나라의 명예보다 인간의 존엄을 택했다.

 

소설 밖, 우리의 현실을 본다. 어떤 이는 책임을 지기 위해  자비를 들여 타국의 심장부에 독도는 한국땅이라는 광고를 내걸었다. 어떤 이는 위안부의 상처를 계승하여 이국 땅에 '지지 않는 꽃'을 피웠다. 어떤 이는 소설을 발표하여 독자에게 말을 건다. 역사의 상속자 곧 역사의 책임을 계승한 나 혹은 당신 그리고 우리를 본다. 우리는 역사에 대한 우리의 책임을 다하고 있을까.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란 없다.' 단순히 과거의 진상을 아는 것으로 역사를 안다고 할 수는 없다. 희생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느냐. 혹은 외면하느냐. 이것은 내가 상속한 역사를 결정짓는 선택이자 나의 오늘을 역사로 만드는 선택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