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희의 방 푸른도서관 41
이금이 지음 / 푸른책들 / 201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엄마가 나타났다. 소희를 버리고 갔던 엄마는 아름다운 얼굴과 날씬한 몸매에 명품을 걸치고 찾아왔다.

 

 발 뻗고 누울 자리가 있고 함께 밥을 모여 먹는 식구들이 있고 학교를 마치고 도와야 했던 부엌이며 집안일이 있던 소희는 그렇게 신데렐라가 되었다. 공부는 잘 하고 예쁘지만 부모님 없는 불쌍한 고아였던 소희는 자신에게 주어진 것 - 물리적이든 정서적이든 - 이 많지 않았기에 처음부터 결핍에 무지했다.

 

 엄마에 대한 원망과 아픔도 그저 단지 지금 옆에 없기 때문에 오히려 덤덤했다.

 

 그런 소희에게 엄마가 나타났다. 그것은 소희가 몰랐던 세계, 부유하고 선망의 대상이 되는 세계이자 새로운 갈등이 내재되어 있는 세계의 출현이었다. 엄마는 그간 소희 스스로도 몰랐던 결핍과 그에 수반하는 욕망을 몰고 온 것이었다.

 

 부잣집에 성적 좋고 얼굴 예쁘고 성격 차분한 아이, 그렇게 엄친딸이 된 소희는 새로운 세계 속에서 스스로의 새로운 모습을 본다. 고아였던 과거가 밝혀지면 예전에는 당연하던 대우들을 다시 받게 될까 두려워 친구들에게 거짓말을 계속한다든지, 자신을 어렵게 대하는 엄마에게 때로 날카로운 말을 때로는 거짓말을 한다든지. 이전에는 없던 욕심이 소희 안에서 고개를 들면서 이런저런 갈등이 계속되지만 어쨌거나 이것은 결국 소희를 성장시키는 계기들이 되고 소희는 솔직하고 담백하게 자신의 자리를 다시 찾으며 이야기는 마무리 된다.

 

 소희가 겪는 내면적인 갈등과 성장을 그리기 위해 너무 집중한 탓인지 소희를 제외한 모든 인물들은 힘이 빠져 있다. 일어나는 사건이나 갈등 들이 소희가 컬러풀하고 그외는 모두 무채색인 느낌이다. 아버지의 폭력이라든가 리나의 갈등이라든가 엄마의 고뇌라든가 이런 것들이 그다지 개연성있게 전개되거나 해소되지 않고 그냥 흘러가버린다.

 

 그래서 참 아쉽다. 그리고 잘 모르겠다.

 

 소희가 이해되거나 안쓰럽다거나 공감간다거나 하다못해 그외 다른 인상이나 이야기의 잔상이 남아야 하는데 아무것도 없다.

 

 엄마와의 유대 회복, 친구들과의 관계 형성(사회적 자아) 이 두 축을 조금 더 잘 벼렸다면 어땠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