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잔해를 줍다
제스민 워드 지음, 황근하 옮김 / 은행나무 / 2012년 10월
평점 :
절판


마침 비가 내렸다. 가을이 비에 젖은 낙엽을 자신의 발자국처럼 남기고 그 위를 달려 사라지는 것이 선명하게 들렸다.

이 선명함은 서글펐다. 가을이 달려, 영영 작별해 버리는 이 소리는 멀리서 걸어오는 겨울의 느릿하지만 단호한 발소리이도 했다.

[바람의 잔해를 줍다]의 주인공인 에쉬는 카타리나의 지독한 잔해 속에서, 비 맞고 더욱 옹골차게 영근 뜨거운 사랑을 주웠다. 나는 이 가을의 잔해에서 무엇을 찾아야 할지 망설인다.

 

'바람의 잔해'라는 어감은 사뭇 파괴적이다. 분명 무엇인가 부서지고 무너지고 허물어진 느낌을 준다. 비에 잔뜩 젖어 도로 위에 널부러진 흙과 돌, 탁하고 축축한 흙냄새, 허전한 바람냄새가 엉겨 있었다. 그래서 엄마를 잃고 아빠 그리고 2명의 오빠와 어린 남동생을 가족으로 두고 궁핍한 생활을 하고 있는 에쉬의 일상은 내게 처음부터(책의 첫 장을 편 순간부터) 부서지고 무너지고 허물어진 느낌이었다.

 

이야기 속에서 에쉬는 (그녀 본인이 화자임에도 불구하고) 단 한번도 그 가엾은 인생의 슬픔을 표출하지 않는다. 눈물을 흘리지 않고서도 울줄 아는 이 성숙한 아이는 그것이 동시에 얼마나 쓰라린지, 마치 상처 위로 레몬즙이 흘러가는 듯하다는 것을 충분히 느끼고 있다. 폐차장에서 풀어 키우는 닭들의 둥지에서 달걀을 찾을 때도, 오빠가 자신의 상처에 침을 발라 닦아주는 것을 보면서도, 홀로 있을 때는 언제든지 엄마를 회상하면서도 아프다, 그립다, 슬프다고 가슴을 치지 않는다.

 

저자는 에쉬의 눈에서 눈물을 흘리게 하고 그녀의 입에서 흐느낌이 나오게 하는 대신, 이야기 전반에서 끊임없이 피와 살과 상처를 묘사한다. 이야기의 시작과 끝을 모두 장식하고 있는 여신 차이나 (차이나는 그냥 암캐가 아니다. 전쟁의 여신이자 에쉬가 자신과 동일시하는 여신 메데이아의 현실화된 존재다.)의 출산과 육아 그리고 개싸움은 그리움과 외로움이 목마르다 못해 갈라지고 피가 튀고 살이 벌어져 붉은 생살이 그대로 드러나 있는 에쉬의 심정을 대변한다. 저자는 살아남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차이나, 사랑을 위해 그리고 사랑을 배신한 남성을 응징하기 위해 가차없이 가족을 베고 자식마저 죽이는 메데이아, 죽은 뒤에도 이 가족의 일상에 여전히 남아 어마어마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에쉬의 엄마를 정교하게 엮어 바람을 이겨내고 그 잔해에서 뜨거운 사랑을 줍는 에쉬를 완성했다.

 

이 이야기는 곱씹어 볼수록 정말 섬세하고 영민하다.

 

에쉬의 성장과 더불어 가족의 여러 에피소드들이 자연스럽게 진행하는 동시에 작가는, 경제상황은 궁핍하고 아이들이 성폭력과 도박 등 온갖 범죄에 무방비로 노출이 된 지금의 열악한 흑인사회를 구체적으로 묘사한다. 인종차별과 성차별은 여전히 사회에 상존하고 있어 그것은 치명적인 발톱으로 약자들을 할퀴고 있음을 고발한다. 특히 제대로 된 정서적 육체적 울타리가 없이 자라는 아이들의 깊은 상실과 상처를 세심하게 그려 페이지를 무심하게 넘기다가도 어느 순간 그들의 상처에 동화된 독자가 눈물을 터뜨리게 한다.

교미상대이자 자기 새끼의 어미인 차이나에게 달려들어 모성의 상징인 젖가슴을 뜯어버리는 숫캐 킬로와 차이나의 싸움은 현대의 척박한 환경에서 생존을 위해 서로의 약점을 물고 물어뜯는 남성과 여성의 묘한 관계를 비추기도 한다. (여성들에게 듣기 좋은 소식이라면, 결국 차이나가 킬로를 응징한다.) 그러나 이런 치열한 싸움에도 불구하고 가족이라는 가치는 여전히 등대의 빛처럼 반짝거리는 따스함으로 살아 있다고 작가는 이야기한다. 투쟁에서 승리한 여신 차이나가 살아 돌아오기를 기다리는 이 책의 마지막은, 별빛 하나 없는 적막을 그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뜨거운 희망을 끌어안은 채로 독자들에게 안녕을 전한다.

 

차이나. 차이나는 돌아올 것이다. 길고 곧게 서서, 젖가슴에서 우유 방울을 흘리며,

차이나는 우리가 이곳 웅덩이에 만든 빛의 원을 내려다볼 것이고 내가 잘 지켜보았다는 것을,

잘 싸웠다는 것을 알아줄 것이다.

-p386

 

부아 소바주의 거친 생명들은 그러나 그들을 아랑곳하지 않는다.

식물들은 씨를 뿌리며 그렇게 또 한 해를 살아낸다.

- p179

 

가족, 남과 여, 아이와 어른, 자연과 인간, 인간과 동물을 한 이야기 속에서 동시에 살아있고 동시에 이야기하며 동시에 흘러간다. 마치 이 늦은 밤, 나는 글을 쓰고, 옆방에서는 잠을 자고, 고양이는 나른한 걸음으로 창가를 지나고, 나무는 마지막 이파리를 떨구고 바람은 겨울을 준비하는 것처럼. 모든 이야기가 살아있지만 자연스럽게 한데 흘러 같은 메시지로 귀결된다. 살아 내는 것의 치열함. 살아 내는 것의 고독. 그렇게 살아 낸 사람에게 부여되는 영광(사랑). 왜 이 책이 미국 평단의 극찬을 받았는지 충분히 공감한다. 그러나 책의 뒷 페이지에 실린 그런 극찬이나 수상 기록이 오히려 이 덤덤하면서도 명민한 책의 감동을 가릴 수 있다. 이 책이 궁극적인 메시지도 별로 중요하지 않다. 그저 에쉬처럼 덤덤하게, 그러나 너덜너덜해진 심장을 양팔로 끌어안고 그녀의 12일을 함께 보낸다면 '이 또한 지나가리라'를 심장으로 배우게 될 것이다. 그리고 책을 덮은 뒤에는 그 뒤에 한 문장을 더하게 된다. '그리고 나는 더욱 강해지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