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벨아미 펭귄클래식 108
기 드 모파상 지음, 윤진 옮김 / 펭귄클래식코리아(웅진) / 2011년 12월
평점 :
판매중지


 부끄러움이나 반성 혹은 비판은 없다.

처음부터 양심이나 이타심, 선의, 정의 등이 상실된 채로 태어나 일생의 단 한 번도 그러한 가치를 교육받지 못하고 살아가는 사람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세대도 있을 수 있다. 뒤루아-모파상이 호흡했던 19세기 프랑스가 그랬던 것 같다. 정부가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고 정재계를 비롯해 사회 전반에 온갖 불의와 부정이, 마치 원래 그러한 것처럼 일반적으로 용납되는 세상이었다. 어쩌면 이것은 지극히 모파상 개인의 시각일 수 있다. 어쨌건 그가 그린 뒤루아의 프랑스는 그랬으니까.

 

모파상은 자신의 분신인 뒤루아에게 어떤 도덕적인 비판이나 반성의 날을 세우지 않았다. 그저 뒤루아에게는 그런 것이 옳을 뿐이다. 자신이 가진 남성적인 매력을 십분 활용해 온갖 여자와 부정을 일으키고 그 부정이 주는 힘과 본인의 재빠른 계산을 지지대로 삼아 남작으로까지 신분을 상승해 가는, 그 모든 것이 그에게는 아주 당연한 것이고 제일 옳은 것이다. 소설 전반에는 어느 인간에게나 절대적 한계인 '죽음'에 대한 공포만 아스라하게 등장할뿐 뒤루아를 비롯해 참으로 부도덕한 극중 사람들에게 비난을 가하는 대목은 찾아볼 수 없다.

 

이런 솔직함, 저자 스스로의 뻔뻔하지만 확고한 가치관이 어쩌면 이 소설의 가장 커다란 매력일 수 있겠다. 마차 안에서는 온갖 말로 여자를 위로하고 보듬고 마치 당신의 털끝 하나도 건드리지 않겠다 맹세하던 뒤루아가 방 안으로 여자를 몰아넣는 순간 앞뒤 재지 않고 달려들어 목적을 달성해버리는 것처럼.

 

누군가 그랬다. 소설을 꼭 계몽적인 목적으로 읽을 필요가 있는거야?

동감한다. 쓸쓸할 때, 가슴이 아플 때, 그냥 아무이유 없이 마음이 가라앉아 우울할 때 시를 읽는 것처럼.

 

소설도 그렇다. 어떤 교훈이나 인생을 바꿀 커다란 깨달음, 대단한 지식을 위해 읽는 것이 아니다.

다만, 새로운 세계를 만나기 위해서. 아침에 출근하고 밤이 되면 잠이드는 이 익숙한 풍경도 좋은 소설 속에서는 작가의 야무진 시각과 메시지를 덧입고 생전 처음 만나는 세계로 변모하지 않던가.

뒤루아의 세계는, 생전 처음 보는 세계이면서도 이전에 만났던 익숙한 세상이기도 했다. 그러나 이 비도덕적인 인물, 파렴치한 인물은 절대 파렴치하게 그려지지 않는다. 극중 인물들로부터 파렴치하다는 이야기를 들을 지언정, 소설 자체는 그를 파렴치한으로 놓아두지 않는 것이다. 마들렌 성당 꽃향기 속에서 화려하게 결혼식을 올린 다음 정부인 드 마렐 부인을 떠올리는 신랑을 그린 엔딩만 보아도, 이 불한당같은 개놈 뒤루아가 살고 있는 벨 아미의 세계에서 그를 얼마나 자연스러운 인물인지 알 수 있다. 끝끝내 승승장구하는 이 나쁜 놈 그러나 (뒤루아를 아주 모범적인 인물로 묘사하는 건 또 아니니) 나쁜 놈이라고 그를 욕하지 않는 묘한 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