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르담 드 파리 청소년 모던 클래식 1
빅토르 위고 지음, 박아르마.이찬규 옮김 / 구름서재(다빈치기프트)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예전에는 이 비극의 주인공이 콰지모도라고 생각했다. 에스메랄다가 베푼 단 한번의 호의에 구원을 얻은 불쌍한 꼽추, 콰지모도. 괴팍하고 사납지만 순수하고 강인한 영혼을 가진 이 생명체가 이 비극의 주인공이라고만 여겼다. 에스메랄다는 허영에 눈이 먼 멍청한 여자였고 클로드 부주교는 비틀린 욕망에 사로잡힌 변태 아저씨로만 생각했다. 아... 그러나! 명작이 왜 명작이던가. 언제 읽어도 그 시대의 것인양 생생하고 다시 읽어도 처음 읽는 것인양 새로운 작품이 명작아닌가. 콰지모도의 비애에 흠뻑 취해보자 싶어 다시 읽게 된 노트르담 드 파리(노틀담의 꼽추가 아니다!)는 역시 명작이었다.

 

우리나라의 많은 번역본이 대부분 '노틀담의 꼽추'라는 제목을 가지고 있어서인지 이 작품의 처음부터 주목을 받는 것은 콰지모도다. 첫 씬부터 병신 교황으로 등장해 비장한 엔딩까지 장식하는 인물인만큼 당연히 그 주목을 안 받을 수 없겠다. 하지만 이 콰지모도의 등장에 앞서 콰지모도가 노트르담의 영혼 중 하나가 되도록 포석을 깐 이가 있었으니 바로 클로드 부주교다. 콰지모도가 노트르담에 살 수 있도록 거둔 사람이며 에스메랄다를 향해 뒤틀린 연정을 품고 결국 그녀와 스스로를 죽음에 이르게 한, 진중하다못해 음산한 분위기를 풍기는 이 부주교야말로 '노트르담 드 파리'라는 비극의 시작이자 중추다.

 

 

콰지모도나 에스메랄다의 입장에서 보면 이 부주교는 당연히 '뭐 이런 인간이 다 있어!' 식의 경악할만한 인물이겠지만, 부주교의 성장과정과 그의 환경을 생각해볼때 이 부주교가 에스메랄다에게 펼친 잘못된 방식의 사랑과 그의 선택은 어느 정도 이해가 된다. 남들보다 비상한 머리, 혈육에 대한 엄격한 애정(여기에는 콰지모도까지 포함), 진지하고 폐쇄적인 성격을 가진 그에게 '신부'라는 직업은 최선인 동시에 최악이었던 것 같다. 몸의 욕망조차 학문의 힘으로 이겨내는 타입의 천상 학자인 이 사람에게 '신부'는 최선의 직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었겠지만 정서적으로는 최악의 환경에 그를 가뒀다. 사람들과 접촉할 필요도, 이유도 없는 그의 환경은 그의 폐쇄성을 더욱 강화했고 신부라는 직업에 받는 경외는 자연스럽게 그의 고압적이고 오만한 성품에 정당성을 부여했다. 이 과정에서 그가 가진 '혈육에 대한 엄격한 애정'이 내재한 그의 깊은 고독은 어떤 출구도 만나지 못한 채 35년을 갇혀있었다. 그 자신도 몰랐던 이 깊은 고독이 에스메랄다를 향해 폭발하면서 노트르담 드 파리의 비극이 시작된 것이다.

 

 

에스메랄다는 (당연하게도) 그의 애정을 거부했고 난생 처음 뼈아픈 거절을 경험한 이 부주교는 결국 영혼을 악마에게 팔고야 만다. 그는 어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그 과정에서 자신의 친족 - 동생과 콰지모도-을 희생하는 한이 있더라도 그녀를 소유하려고 했으나 이런 방식의 연모가 끝이 좋을리가 없다. 난생처음 겪는 애정과 애증(이렇게 누군가를 사랑해 본적도, 증오해 본적도 처음이리라) 속에 이 불쌍한 총각은 결국 사고를 친다. 그래서 사람이 책만 보면 안된다. (만일 클로드 부주교가 시장의 상인이나 하다못해 거리의 악사였다면 아마 그는 에스메랄다에게 이토록 기형적인 연정을 품지 않았을 것이다.) 물론 그의 선택은 구구절절 틀린 것이었고 에스메랄다는 그의 희생양이 되었지만, 나는 노트르담 구석구석 서린 그의 고독함에 연민을 느꼈다. 이 불쌍한 사람. 자신의 외로움을 자신마저 알아주지 못했던 가여운 사람. 당신도 노트르담의 가련한 영혼이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