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인지, 생각의 기술 - AI 시대, 직원부터 CEO까지 메타인지로 승부하라
오봉근 지음 / 원앤원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00의 기술' 이런 제목이 이제는 식상해진 2021이다. 그런 책들을 제아무리 열심히 읽어봐야 그 기술이 현실에서 빛을 보기는 어렵다는 걸 아는 까닭이다. 기술이 빛을 보려면 개인 뿐 아니라 개인이 구성원으로 있는 집단 전체가 그 기술을 공유하고 있어야 한다. 개인의 기술은 아무리 잘나봐야 태풍 속의 산들바람일뿐이다. 집단의 힘은 개인이 어찌해서 뒤집어 엎을 수 있는 게 아니다.

개인이 아닌 집단이 발휘할 수 있는 기술에 접근했다는 면에서 이 책은 제목이 주는 식상함을 가볍게 뛰어넘는다. 메타인지, 메타인지... 이런 저런 책이나 기사 혹은 각종 미디어에서 메타인지를 다루고 있지만 대부분 개인으로 발휘하는 메타인지에 대한 내용이다. [메타인지, 생각의 기술]은 집단, 보다 정확히는 회사가 발휘할 수 있는 메타인지를 다루는 책이다.

 

 

 

혼자가 잘해서 잘나가는 회사는 이제 없다. 아니, 원래 없었다고 해야 할까. 회사는 조직이다. 구성원들이 어떻게, 어떤 방식으로, 어떤 목표를 가지고 일을 해나가느냐에 따라 회사의 흥망성쇠가 갈린다. 혼자가 뛰어나서 이리저리 날뛰면 주머니 밖으로 튀어나온 송곳마냥, 모난 돌이 정 맞는 형국이 될수밖에 없다. 개인의 메타인지력이 제아무리 뛰어나도 그것이 조직에 큰 무기가 되지는 못한다는 뜻이다. 그러나 메타인지가 조직적으로 형성되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공동이 함께 발휘하는 메타인지의 힘은 혼란한 현재의 형국을 헤쳐나갈 동력이 될 수 있다.

 

 [메타인지, 생각의 기술]을 쓴 오봉근 저자는 기업의 전략컨설팅 전문가다. 개인의 '일머리'를 기업 단위에 적용하기 위하여 저자는 지난 수년 간 자신의 커리어를 이 책에 정리했다고 한다. 메타인지라는 개념을 무조건적으로 신봉하거나 아직 메타인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탓에 관련한 모든 자료를 신뢰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인 지금, 이 책은 이 점을 명확히 한다. AI 시대에 인간만의 고유 영역으로 메타인지가 남아 있을 가능성은 크지만 아직 메타인지의 메커니즘은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고 이 책 [메타인지, 생각의 기술]에 담은 저자의 주장도 아직 가설에 근거한다는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저자 스스로 밝히는 이 책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여전히 흥미롭다. 개인의 메타인지와는 상당히 다른 조직적 메타인지의 현상과 효과는 대면 업무가 보편적이던 시절보다 비대면 시대인 지금이야말로 주목할만하다. 비대면 업무는 구성원들이 하나의 그림을 그리고 있지 않을 때에는 무척이나 힘들다. 그러나 구성원들의 하나의 그물망처럼 조직적인 메타인지를 발휘할 수 있다면 비대면 업무 시대에 조직력은 최고로 끌어올려지지 않을까.

 

 

 

코로나19의 대유행으로 인해 기존의 질서 중 많은 것들이 바뀌면서 여러 전문가들은 언택트시대에 대해 저마다의 예측론을 늘어놓는다. 그러나 어쩌면 우리에게 현실적으로 필요한 것은 대면이든, 비대면이든, 코로나19 대유행 이전이든 이후든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의 본질적인 부분에 대한 점검이 아닐까. 삶은 '이해'로부터 절대 분리될 수 없다. 나에 대한 이해는 객관화를 가능케 하고 이 객관화는 메타인지의 기본이다. 상대에 대한 이해 역시 조직적 메타인지의 기본이다. 메타인지를 발휘하려면 먼저는 나도, 상대의 의도도 이해해야 한다는 사실. 이 기본 중의 기본으로부터 개인의 메타인지도, 조직적 메타인지도 시작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