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옛이야기의 힘 - 대담하고 자유로운 스토리의 원형을 찾아서
신동흔 지음 / 나무의철학 / 202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옛날 이야기들은 힘이 세다. 오래된 이야기들은 긴긴 세월의 파도를 버텨냈다. 오래될수록 끈질긴 이야기들. 그 이야기들이 가진 끈질김은 사람들의 공감과 해석에서 비롯한다. 이야기들이 시간의 물결 위를 타고 살아남으려면 사람들의 입이 필요했다. 입에서 입으로 거치면서 이야기는 점점 깊이를 얻었고 입을 타고 내려온 이야기가 자기 자리를 종이 위로 옮긴 후에도 그 깊이는 계속되었다. 옛이야기들을 읽고 있으면 그래서 참 신기하다. 이 이야기가 기원한 몇 백년, 몇 천 년 전 사람들과 지금의 우리가 삶의 양식이나 심지어 가치관까지 많이 다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이기 때문에 공유하는 뭔가가 있다는 걸 체감하기 때문이다.
신동흔 저자가 지은 [옛이야기의 힘]은 550페이지에 달하는 꽤 두꺼운 책이다. 중국, 프랑스, 러시아, 그리스 등 세계 각국의 민담을 모아 엮은 책이다. 민담을 채집하여 엮은 저자는 오랜 세월을 살아온 민담이 들려주는 삶과 사람을 읽어내 책에 함께 담았다.
<개구리 왕자> 같은 익숙한 이야기도 있고 <굴뚝새> 처럼 생소한 이야기도 있다. 동서양의 옛이야기들은 서로 닮은 구석도 있고 전혀 다른 구석도 있다. 한국인에게는 무척 생소한 성격의 인물이나 사건이 등장하는데 이야기를 읽으면서 '와 되게 우리나라 옛날이야기같다'라고 느끼는 민담도 있다.
어쨌건 민담이 담고 있는 것은 동서고금을 관통하는 인간됨의 법칙이 아닐까 한다. 어떻게 살아야 인간인가? 인간의 감정을 인간은 어떻게 써야할까? 이 삶은 어디로 달려가는 걸까? 이런 물음은 답이 없는 거라고 생각한다. 답을 구할 순 없지만 일정한 규칙을 세워두고 살아갈 순 있다. 이런 일정한 규칙은 우리를 인간으로 살게 한다. 민담은 이런 규칙을 제안한다. 성공, 홀로서기, 사랑, 성장, 인내, 구원 등 인간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고민하게 되는 화두들을 나보다 먼저 고민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들이 민담에 담겨 있다.
신동흔 저자는 이 많은 이야기들을 어떻게 다 정리했을까 싶을 정도로 방대한 자료를 책으로 냈다. 옛이야기들인만큼 구술자료를 정리한 내용도 적지않았을텐데 그 많은 자료를 이토록 흥미로운 책으로 정리해낸 것에 박수를 보낸다.
추위가 빨리 온 덕분으로 긴긴 겨울밤, 담요를 덮어 쓰고 책 읽기가 즐거워졌다. [옛이야기의 힘]이 그런 즐거움에 함께하고 있어 더욱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