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십자가와 초승달, 천년의 공존 - 그리스도교와 이슬람의 극적인 초기 교류사
리처드 플레처 지음, 박흥식 외 옮김 / 21세기북스 / 2020년 4월
평점 :
7세기, 무함마드가 계시를 받으면서 이슬람교가 시작된 이래 그리스도교와 이슬람교는 중세의 질서를 나눠가진 사이였다. [십자가와 초승달, 천년의 공존]은 정신적, 문화적으로 커다란 주류가 되어 유럽 문명과 역사를 구성한 두 종교의 관계와 서사를 설명하는 책이다.
[십자가와 초승달, 천년의 공존]의 부재는 ‘그리스도교와 이슬람의 극적인 초기 교류사’다. 이 책은 이 부제를 명명백백하게 따른다. 그리스도교와 이슬람이 거의 교류가 없었을 거라고 생각하기 쉽다. 두 종교가 너무 다르고 무엇보다 십자가 전쟁이라는 악독한 전쟁사가 끼어 있기 때문에. 그러나 7세기부터 17세기까지, 두 종교와 이 두 종교에 편입된 유럽과 중동의 세계는 저러한 생각보다 잦은 교류와 친밀한 영향을 주고 받았다.


이 책을 읽기 전에 막연히 파워 밸런스 정도로만 두 종교의 역사적 관계를 해석하고 있었던 나는 무척이나 흥미롭게 이 책 [십자가와 초승달, 천년의 공존]을 읽었다. 신앙적 측면이 아니라 오로지 문화적 측면으로 종교사를 바라보고 해석한 저자의 견해가 무엇보다 흥미로웠다. 두 개의 종교 중 어느 한 종교를 가지고 있는 입장, 저 두 개의 종교는 아니지만 종교를 가지고 있는 입장, 종교가 없는 입장. 어떤 입장의 독자가 읽어도 이 책을 저자의 견해와 관점 덕분에 부담없고 흥미로우리란 생각이 들었다.
특히 재미있는 부분은 꾸란과 성서, 두 종교 경전의 특징과 그 내용을 근거로 두 종교가 서로를 바라보고 인식하는 관점을 정리한 부분이다. 아주 명쾌하게 두 종교의 입장이 드러난다.

동시대 그리스도인 작가인 히에론무스는 386년에서 420년 사이 베들레헴에 장기간 거주했기에 아랍인들과 가까운 이웃이었지만 암미아누스의 견해에 동의했다. 당시 그리스도교 권위자들은 이 독특한 민족을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지 알고 있었다. 그 모든 내용은 [성서]에서 이스마엘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것과 같았다. 창세기 16장에는 그의 출생과 운명을 서술하고 있다. 이스마엘은 “들나귀 즉 난폭한 자가 될 것이다. 그는 모든 사람과 싸울 것이고 모든 사람 또한 그와 싸울 것이다. 그는 자기의 모든 친족과 대결하며 살아가게 될 것이다.
26-27쪽
600년경의 그리스도교 신앙은 비잔티움 제국이 질서 및 권위와 긴밀하게 결속되어 있었다. 이슬람은 아랍인들에게 그들의 언어로 기록된 경전을 근거로 본토에 성지를 두고 그들의 방식으로 예배하고 신앙생활을 영위하는 고유한 일신교를 제시했다.
[꾸란]은 무슬림들에게 아흘 알 키타브, 즉 성서의 백성인 유대인들과 그리스도인들을 존중할 것을 요구한다. (꾸란 29장 46절)
45쪽
저자가 서문에 쓴대로 유대교와의 관계까지 함께 서술되었다면 이 책은 훨씬 재미있어졌을텐데. 하지만 두 배로 두꺼워지고 책의 방향도 달라졌을 것이다.
저자가 이 책의 서문을 쓴지 18년이나 지났다. 그때도 그랬지만 지금도 역시 이런 책들을 통해 불통이 낳은 오해가 해소되고 오해에서 오는 소란함이 잠잠해지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