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덤, 어떻게 자유로 번역되었는가 이와나미 시리즈(이와나미문고)
야나부 아키라 지음, 김옥희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번역과 번역어에 대한 연구는 언어와 사상, 사회 현상에 대한 연구와 반드시 연결되기 마련이다. 개념이 없다면 그 개념에 해당하는 현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개념과 현상의 존재 증명은 언어의 몫이다. 어떤 개념을 뜻하는 단어가 존재한다는 것은 그 개념에 해당하는 현상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우리말인 한이나 정이 다른 언어권으로 넘어갈 때나, 영어권의 right, individual이 우리말로 넘어올 때 넘어야 하는 장벽을 가능한 매끄럽게 해결하기 위하여 번역가들이 각 언어권의 사회 및 생활상을 넓고 깊게 연구해야만 했던 이유가 여기에 있다. 각 언어권마다 존재하는 개념과 현상의 편차. 아무리 세계는 하나, 지구촌 한 가족이니 어쩌니 해도 이런 편차의 장벽은 계속 존재하리라 싶다. 같은 말을 쓰는 남한과 북한에서조차 70년의 단절의 결과로 엄청난 개념과 현상의 편차가 있는 걸 보면 그렇다.

 

신간 [프리덤, 어떻게 자유로 번역되었는가]는 번역어의 역사를 추적한 책이다. 사회, 개인, 근대, , 연애, 존재, 자연, 권리, 자유, (그녀)10개의 어휘가 19세기 중반에 서구로부터 일본으로 유입된 과정과 결과를, 야나부 아키라 저자가 정리했다. 봉건시대에서 근현대로 진화하면서 가장 커다란 변화를 보인 것이 언어일 것이다. 이 책 [프리덤, 어떻게 자유로 번역되었는가]는 메이지 시대(1800년대 중후반)에 일본으로 유입된 서구 사상에 담긴, 일본에 없던 개념과 현상을 일본어로 번역하기 위하여 고민했던 당시 지식인들의 자취가 잘 담겨 있다.

사회社會라는 단어는 오늘날 학문과 사상 관련 서적은 물론이고 신문, 잡지 등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온갖 활자 매체에서 쓰이고 있다 게다가 비교적 중요한 의미가 담겨 있는 경우가 많다. 사회는 society의 번역어다. 대략 메이지 10년대(1877~1886) 무렵부터 활발히 쓰이기 시작했으니까 역사가 약 1세기 정도 된 셈이다.

본래 society는 번역하기가 매우 어려운 단어였다. society에 해당하는 말이 일본어에 없었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다. 해당하는 말이 없었다는 것은 곧 society에 대응할 만한 현실이 일본에 없었음을 의미한다.

10

 

society는 궁극적으로 개인individual을 단위로 하는 인간관계다. 좁은 의미의 인간관계든 넓은 의미의 인간관계든 마찬가지다. 하지만 이나 에서는 사람들이 신분으로서 존재했지 개인으로서 존재하지 않아 society와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

14

 

10개의 어휘 중 가장 첫 번째 꼭지는 society인데 이 단어가 社會사회가 되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보면 번역의 장벽이 단순히 의미 전달의 어려움만을 뜻하는 것이 아님을 알게 된다. 단어를 들여오는 건, 개념을 들여오는 것이며 그 개념이 뜻하는 현상과 그 현상에 연결된 세계까지 함께 들여오는 일이다. 당시 일본에는 관계를 맺는 개인이라는 개념 자체가 없었다. society에 내포된 관계성을 이해하거나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이 없으니 사회라는 단어에 이 개념을 입히기까지 번역가들과 당시 지식인들의 노력이 만만치 않았으리라 생각된다. 이와 비슷한 현재의 예로 mindfullness가 있지 않을까 싶은데, 개인적으로는 아직도 이 단어의 번역어인 마음챙김이 어색하게 느껴진다. 내 안에서 이런 현상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인가?

 

[프리덤, 어떻게 자유로 번역되었는가?]에서 가장 재미있는 꼭지는 제5장 연애와 제7장 자연 그리고 제8장 권리였다. 특히 제8장 권리의 경우 powerright의 개념 차이, rightpower의 번역어로 권이 널리 쓰였으나 본래 right의 개념은 힘과는 대립하는 것임을 설명해주는 데, 이건 일본의 경우 뿐 아니라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해당되는 것이어서 흥미로웠다. 서구 사상서들의 경우 (요즘은 원서를 다시 번역해서 출간하는 책들도 많으나) 일본적으로 번역된 내용을 다시 우리나라 말로 번역한 책들이 많기에, 19세기 중반의 사상서들에 등장하는 주요개념이 어떤 배경과 이유로 근대, 사회, 자유 같은 한자단어들로 번역되었는지를 한번쯤 살펴보는 건 의미 있는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