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지음, 박은정 옮김 / 문학동네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의 목소리가 있는 그대로 소설이 된다면 이런 책이겠지. 얼마 전 읽었던 [진주]가 자기 자신의 증언을 소설로 빚었다면, 이 책은 벨라루스의 저널리스트인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가 200여 명의 참전 여성들로부터 채집한 목소리를 소설로 빚은 결과다. ‘소설’이라고 하면 우리는 흔히 허구, 꾸민 이야기, 극적인 즉 인위적인 감정을 끌어내기 위한 장치가 담긴 글이라고 생각하게 되는데, 이 소설은 극화劇化를 철저히 경계한 저자의 예민함에 힘입어 그런 류의 글에서 벗어난다. 이런 작품을 소설, 일명 목소리 소설(저자 자신은 소설-코러스)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이야기가 허구여서가 아니라, 타인의 이야기가 나 자신의 것인 듯 전이되고 확장된다는 점 때문이다.

 

 이 책은 읽는 데에 너무나 많은 시간을 요구했다. 내가 생각할 수 없는 시간들을 보낸 사람들의 목소리를 듣는 데에 당연한 대가라고 느꼈다. 이 책에 등장하는 화자들 뿐 아니라 저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전쟁으로 얻은 훈장을 비추는 대신 ‘냄새나는 속옷’을 드러내는 저자의 책들 때문에 재판도 열렸다고 한다. 마땅히 기억되어야 하는 소리들을 남기는 일로 인하여 저자가 감수해야 했던 시간들 역시, 내가 생각할 수 없는 시간들이다. 그런 사람의 여정을 동행하는 데 그저 하루이틀, 부드러운 이부자리나 소파에서 엉덩이를 부비며 책장을 넘기는 태도는 무례하다. 나는 그렇게 생각했다.

 

 아룬다티 로이의 소설 [지복의 성자]와도 비슷한 문제의식을 보이기도 하는 문장들이 곳곳에 보였다. 아룬다티 로이의 소설을 얼마 전에 읽어서 그런가 보다. 그러고 보면 독서는 인연이다. 사람이 살아가는 일이 그러하듯이. 어제 만났던 사람, 오늘 처음 만나는 사람, 내일 만나게 될 사람. 그 사람 사람을 어떤 타이밍에 만나고 어떤 이야기를 하느냐에 따라 사람과의 관계와 인생의 맥이 달라지듯, 책과 책 그리고 그 다음 책으로 이어지는 책과의 인연에 따라 그 책에서 발견하게 되는 것이 달라진다.

 

 책의 면면이 너무 아까워서, 적어도 아직 전쟁 중인(휴전이지 종전이 아니므로) 우리나라 사람들만큼은 전쟁에 휩싸인 사람들의 진짜 목소리를 못 들은 사람이 한 사람도 없어야한다는 생각으로, 이 책의 발췌문들을 옮긴다.

 

 


 

 

  우리는 전쟁이 없는 세상을 알지 못한다. 전쟁의 세상이 우리가 아는 유일한 세상이었고, 전쟁의 사람들이 우리가 아는 유일한 사람들이었다. 나는 지금도 다른 세상이나 다른 세상의 사람들을 알지 못한다. 그런데 다른 세상, 다른 세상 사람들은 정말 존재하기나 했던 걸까?
 14쪽

 

 

 나의 목적은 무엇보다 그때의 진실을 얻어내는 것이다. 그날들의 진실. 감정의 속임수가 없는 진실. 한 사람의 입에서 나왔을지라도 전쟁이 끝난 직후의 이야기와 수십 년이 흐른 뒤의 이야기는 같을 수가 없다. 사람은 살면서 자신의 삶을 기억 속에 차곡차곡 쌓기 때문이다. 사람은 자신의 모든 것을 기억 속에 담는다. 어떻게 살았는지, 무엇을 읽고 보았는지, 누구를 만났는지 기억속에 모두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결국 그 사람은 행복하거나 불행하다.
24쪽

 

 


 이름 없는 전쟁의 목격자나 참전자의 이야기를 통해 살아나는 역사. 그렇다. 나는 바로 그런 역사가 알고 싶다. 그런 역사를 문학으로 만들고 싶다. 하지만 이야기하는 사람은 단순히 목격자에만 머물지 않는다. 오히려 배우나 창작자에 가깝다. 아주 가까이, 얼굴을 마주할 만큼 가까이 실제 현실에 다가가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현실과 우리 사이엔 감정이 놓여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람들은 저마다 자신의 입장과 견해가 있으며, 수없이 엇갈리는 입장과 견해들로부터 새로운 시간과 그 시간 속에서 살아갈 사람들의 형상이 탄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략)  나는 전쟁이 아니라 전쟁터의 사람들을 이야기한다. 전쟁의 역사가 아니라 감정의 역사를 쓴다. 나는 사람의 마음을 살피는 역사가다. 한편으로는 구체적인 시간 속에 살고 구체적인 사건을 겪는 구체적인 사람을 연구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영원한 인간을 들여다보아야 한다. 영원의 떨림을, 사람의 내면에 항상 존재하는 그것을.
25쪽

 

 

 그랬다. 그네들은 많이 울었다. 소리도 질렀다. 내가 떠나고 나면 그네들은 심장약을 먹었다. ‘구급차’가 왔다. 그럼에도 그들은 나에게 와달라고 부탁했다. “와요. 꼭 다시 와야 해. 우리는 너무 오랫동안 침묵하고 살았어. 40년이나 아무 말도 못하고 살았어..”
 그들의 울음과 비명을 극화해서는 안 된다는 걸 잘 안다. 그러지 않으면 그들의 울음과 비명이 아닌, 극화 자체가 더 중요해질 테니까. 삶 대신 문학이 그 자리를 차지해버릴 테니까. 이 일이 워낙 그렇다. 그렇게 적당한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 늘 아슬아슬하게 경계를 넘나든다. 사람은 전쟁터에서 가장 잘 보이고 잘 드러난다. 내면의 깊은 곳까지, 저 깊숙한 피하조직까지 모습을 드러낸다. 어쩌면 사랑할 때도 그럴지 모르겠다. 죽음의 얼굴 앞에서는 모든 사상과 이념이 그 의미를 잃는다. 누구도 미리 대비할 수 없고 이해할 수도 없는 그런 영원의 세계가 열린다. 우리는 여전히 역사 속에 살고 있다. 우주가 아니라.
31쪽 

 

 

나는 위대한 사상에 필요한 건 작은 사람이지, 결코 큰 사람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이념에 큰 사람은 쓸모없고 불편한 존재라는 것을. 큰 사람은 완성되는 데 손이 많이 간다. 나는 바로 그런 사람을 찾는다. 작으면서도 큰 사람. 그는 멸시당하고 짓밟히고 학대당했지만, 스탈린 수용소와 배반의 아픔을 겪었지만, 결국은 승리를 거뒀다. 그는 기적을 만들어냈다.
 하지만 사람들은 전쟁의 역사를 승리의 역사로 몰래 바꿔치기해버렸다. 작으면서 큰 사람, 그가 직접 그 사실을 말해줄 것이다.
 37쪽

 

-당신은 전쟁의 추악한 면만 보여주고 있소. 냄새나는 속옷만 보여줬단 말이오. 우리의 승리가 당신한테는 무섭고 끔찍한 것에 불과한 거요? 도대체 원하는 게 뭡니까?
 - 진실들.
 - 당신은 삶 속에 진실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군요. 거리에 있다고 말이오. 당신이 말하는 진실은 천박해요. 지나치게 세속적이오. 아니, 진실은 우리가 꿈꾸는 바로 그것이오. 우리가 되고자 하는 그것!

48쪽

 

 

전쟁이 몇 년 동안 있었지? 4년. 그래, 참 길기도 했네…… 그런데 그 4년 동안 꽃이고 새고 전혀 본 기억이 없어. 당연히 꽃도 피고 새도 울었을 텐데. 그래, 그래… 참 이상한 일이지? 그런데 정말 전쟁영화에 색이 있을 수 있을까? 전쟁은 모든 게 검은색이야. 오로지 피만 다를 뿐, 피만 붉은색이지…
 83쪽

 

 

 

우리 소녀병사들이 어떤 사람들이었냐고? 체르노바라는, 임신 중인 친구가 있었지. 그 친구는 지뢰를 자기 옆구리에 끼워 날랐어. 새 생명의 심장이 뛰고 있는 바로 그 자리에. 이제 좀 이해가 될 거야. 우리가 어떤 사람들이었는지. 우리가 왜 그랬는지 굳이 따져볼 필요가 있을까? 우리는 그냥 그런 사람들이었을 뿐이야. 우리는 조국과 우리는 하나라고 배우며 자랐지. 어린 딸을 데리고 시내 임무에 나선 친구도 있어. 딸아이 몸에 선전 삐라를 칭칭 돌려 감고 원피스를 입혀 감췄지.
132쪽

 

 

 전쟁은 이 집에서 아직도 진행중이며 영원히 끝나지 않을 것이란 사실을 깨닫는다.
171쪽

 

 

 

나의 목적은 무엇보다 그때의 진실을 얻어내는 것이다. 그날들의 진실. 감정의 속임수가 없는 진실. 한 사람의 입에서 나왔을지라도 전쟁이 끝난 직후의 이야기와 수십 년이 흐른 뒤의 이야기는 같을 수가 없다. 사람은 살면서 자신의 삶을 기억 속에 차곡차곡 쌓기 때문이다. 사람은 자신의 모든 것을 기억 속에 담는다. 어떻게 살았는지, 무엇을 읽고 보았는지, 누구를 만났는지 기억속에 모두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결국 그 사람은 행복하거나 불행하다. - P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