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 플라톤의 대화편 현대지성 클래식 28
플라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렇다면 영혼은 몸보다 더 눈에 보이지 않는 것에 가깝고, 몸은 영혼보다 더 눈에 보이는 것에 가깝다는 것인가?”
  “필연적으로 그렇게 말할 수밖에 없습니다, 소크라테스 선생님.”
 “그런데 우리는 앞에서 한참 전에 이렇게 말했지. ‘영혼이 몸을 통해서 어떤 것을 고찰하는 일은 몸의 감각을 통하는 것이기 때문에, 보는 것이나 듣는 것이나 그 밖의 다른 감각을 통하려 할 때 몸을 사용하게 된다. 그런 경우에 영혼은 몸에 이끌려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계 속으로 들어가서 그것들과 접촉하게 되고, 그러면 길을 잃고 헤매며 혼란스러워져서 마치 술에취한 사람처럼 비틀거리게 된다’고 말일세.”
 136쪽 소크라테스와 케베스의 대화 중에서 [파이돈]

 

 

 소크라테스의 변론 혹은 변명으로 알려진, 아테네를 향한 소크라테스의 항변을 기록한 [변론]은 매우 유명하다. 이 책을 읽어보진 않았더라도 제목은 들어본 사람이 대부분이리라. 내가 읽은 변론은 소크라테스 본인이 ‘누군가는 나더러 유창한 말로 홀려서 청년들이 나를 따르게 만든다고 하지만, 내가 얼마나 말을 못하는지 여기 있는 여러분이 알고 있는데 그런 고발들은 모두 모함이 아닐 수 없다’는 식으로 말하는 대목에서 나도 모르게 ‘헛’하고 코웃음을 치게 만든 책이다. (여보세요? 말을 못한다고요?? 누가요?) 변명이란 단어에 담긴 부정적 뉘앙스 때문에 변론이라고 옮기는 경우가 많다고 하는데, 현대지성 시리즈에서 출간한 이번 책의 경우 항변의 뉘앙스를 더 확실하게 살리는 쪽으로 무게를 실어 ‘변명’이라는 제목으로 펴냈다. 이 책에는 [소크라테스의 변명], [크리톤], [파이돈], [향연] 등 4편과 함께 해제, 연표가 실려 있다.

 예전에는 한창 변론-변명만 읽고 말아버렸는데 현대지성 시리즈에서 나온 책으로 [파이돈]을 처음으로 읽었다. 이게 이렇게 재밌는 내용인 줄 예전에는 미처 몰랐네. [크리톤]은 소크라테스의 친구인 크리톤이 수감된 소크라테스를 면회하면서 나눈 대화를, [파이돈]은 소크라테스의 임종(사형 집행) 직전에 그를 찾아간 제자들과 나눈 대화를 기록했다. 그래서인지 [크리톤], [파이돈]의 주제와 내용은 사람이 간직한 것들 중에 ‘영원성’을 가진 영혼과 정신에 집중되어 있다. 몸이 죽고 나서도 소멸되지 않는 영혼의 가치성, 몸과 영혼이 공존하는 이 현세에서 사람이 마땅히 생각하고 노력해야 하는 부분들에 대해서 [크리톤]과 [파이돈]은 이야기한다.

 어릴 때 보았던 코메디프로의 영향 때문인지 ‘소크라테스’라고 하면 쓸데없이 진지하고 고리타분한 느낌이 있다. (나도 이런데 나보다 더 나이도 어리고, 철학에는 관심 없는 독자들이 봤을 때는 오죽할까 싶다.) 소크라테스가 너무 무겁고 진중하고 부담스러웠다면 현대지성 시리즈에서 출간한 이 책을 가볍게 읽어보기를 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