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밀레니얼은 처음이라서 - 89년생이 말하는 세대차이 세대가치
박소영.이찬 지음 /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 / 2019년 11월
평점 :
<90년생이 온다>를 재미있게 읽었던 독자라면 이 책도 추천한다. 어쩌면 이 책 <밀레니얼은 처음이라서>가 좀 더 솔직하고 발칙할수도 있다. 이 책은 90년생으로 퉁쳐지는 밀레니얼 세대 스스로가 자기를 소개하는 책이다.
밀레니얼 세대를 두고 어떤 세대는 ‘참 말을 안 듣는 아이들’이라고 하기도 하고 어떤 세대는 ‘솔직한 친구들’이라고 하기도 한다. 둘 다 맞는 것 같다. 자기 자신에게 그리고 타자에게 솔직하려면 때로는 ‘말을 안 들어야’ 되더라고. 상대를 무안주려거나 일부러 그의 의견을 무시하려는 건 아니지만 내가 추구하는 가치와 다른 기준 앞에서는 때로 ‘말 안 듣는 사람’이라는 평을 듣더라도 할 말은 해야한다고 생각이 든다.
그렇다. 문제는 이것이다. ‘가치’. <밀레니얼은 처음이라서>의 두 저자, 박소영과 이찬은 밀레니얼 세대를 움직이는 것이 이 가치라고 한다. 그래서 뭐 어쩌라고? 어떤 세대는 이렇게 반문할 수도 있다. 밀레니얼 세대가 뭐 그리 대단해서 그들의 생각과 추구하는 가치를 신경써야 하느냐고? 두 저자는 이런 물음에 대해 이렇게 답변한다.
2008년을 기준으로 전 세계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밀레니얼 세대는 이전의 어느 세대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그 규모가 크다. 대한민국에서는 이미 인구의 26퍼센트를 차지하며, 사회에 진출하여 노동 및 경제 활동을 왕성하게 하고 있다. ‘인원수’가 많다는 이유 하나만으로도 조직에서 이들을 신경 써야 하는 근거는 충분하다.
16쪽
주된 노동력을 제공하는 이 세대에게 일을 시키는 건 만만치 않다. 밀레니얼 세대는 단순히 대의나 조직이나 뭐 그런 걸 위해서 움직이는 사람들이 아니기 때문이다. 자신이 어떻게 쓰였는가를 자각하고, 그것에 스스로 납득이 될 때 밀레니얼 세대는 움직인다. 그렇다고 남들의 조언 따윈 신경 안쓰는 마이웨이만은 아니다. 밀레니얼 세대는 그 어떤 세대보다도 멘토를 찾고 갈망한다.
밀레니얼 세대에게 일이란 단순히 지시 사항을 처리하는 것만이 아니라 ‘내가 어떤 목적에 합당하게 쓰였는가’와 연관된다. 밀레니얼 세대에게 업무 분배를 할 때는 일의 목적을 명확히 하고, 팀원 개개인의 역량 정도를 파악하여 그들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일을 배분해야 한다.
30쪽
많은 이들이 오해하는 부분이다. 책임과 권한만을 부여한 채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방임이 된다. 시키지 않아도 모든 걸 척척 해내는 유능한 신입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신입사원에게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은 필요하다. 업무에 대해 확실한 목표를 제시하거나, 넘어서는 안 될 선에 대한 안내나 정보는 반드시 알려주어야 한다. 상호합의하에서 움직여야 공통의 방향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처음이라 모르는 것이 많을 수 있다. 선배로서 해줄 수 있는 가장 좋은 역할은 질문을 받았을 때 정확히 답변해주는 것이다.
163쪽
인류 역사 이래 세대 차이는 그 어떤 나라와 민족도 풀지 못한 숙제였다. 그래서 지금 우리 사회의 세대 차이가 크게 이상한 거라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단, 세대의 차이를 인정하고 서로를 알기 위하여, 서로에게 적응하기 위하여 공부하지 않는다면 세대 차이는 단순한 불편함이 아니라 사회 분열의 가장 강력한 한 축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그런 불안한 미래를 만들지 않기 위하여, 지금 필요한 책, <밀레니얼은 처음이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