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도록 먹고 마시는 심리학 - 생각 없이 먹고 마시는 당신을 위한 실험 심리학
알렉산드라 w. 로그 지음, 박미경 옮김 / 행복한숲 / 2019년 7월
평점 :
품절


 

 ‘먹는 걸로 스트레스를 푸는 건 건강에 좋지 않아.’라는 것쯤은 당연히 알고 있다. 뭔가 짜증이 나고 불만족스러울 때 혀는 물론 식도까지 녹아버릴 것 같은 달디단 디저트를 찾고, 스트레스 지수가 정수리를 지나 이미 뇌까지 마비시킬 정도로 폭발할 것 같은 날에는 눈알이 빠질 것 같은 매운 음식을 찾곤 한다. 그런 음식들을 섭취하는 것, 특히 기분이 좋지 않거나 정상이 아닐 때에 그런 음식을 섭취하는 것은 마음과 몸의 건강 모두에 좋지 않다는 걸 모를 수가 없다. 그래도 일단 그 음식들을 찾는다. 찾아서 먹는다. 먹고 난 직후에 잠시 만족을 느낀다. 그리곤 ‘아~ 좀 살 것 같다’고 생각하거나 행복하다고 느낀다.

 

 문제는 이 다음부터 심각해진다. 기쁘게 먹었으면 먹고 난 이후에도 계속 기뻐야 하는데 마음은 그렇게 마음대로 안 된다. 먹을 때는 기뻤지만 먹고 나선 죄책감을 느끼는 것이다. 그러면서 다짐한다. 오늘 먹은 량만큼 당분간 먹는 걸 줄이겠다든지 오늘 먹었으니 내일 점심까지 굶겠다라든지. 극단적으로는 먹은 것을 다시 토해내는 일도 있다.
 며칠 후에 혹은 몇 시간 후에, 우리는 저 과정을 반복한다. 똑같은 생각과 똑같은 마음의 변화를 겪으면서.

 

 

 우리는 왜 자꾸 ‘안 좋을 걸 알면서’ 먹고 마시는 걸까. 폭식증과 거식증을 비롯한 섭식장애는 이미 낯선 증상이나 단어가 아니다. 섭식 습관과 우리의 심리학은 어떻게 연결되어 있기에 우리는 머리론 알면서도 죽도록 먹고 마시는 일을 쉽게 멈추지 못하는가? 행동 과학자인 알렉산드라 로그 박사는 사람이 먹고 마시는 일이 어떤 심리 상태 혹은 심리 현상과 연결되어 있는지를 연구해왔다. 여러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고 발견한 것들을 담은 책이 이 책, [죽도록 먹고 마시는 심리학]이다.

 

 

 우리의 섭식에 대하여 행동 과학자가 쓴 책! 제목만 봐도 어쩔 수 없이 손이 가는 이 책의 머리말은 아주 솔직하다. 저자 알렉산드라 로그 박사는 이 책이 먹고 마시는 것과 관련된 섭식장애를 다루었지만 개인의 특정 문제를 정확하게 진단해주는 건 아니라고 명백하게 선언한다. 이 책의 내용이 개인의 문제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방법을 말하지 않기에, 섭식과 심리학에 대한 몇 가지 원칙들은 책에 기술할 수는 있지만 제대로 된 치료를 시도하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해결하라고 한다.

 

 

 이렇게 솔직하고 냉철하게 시작한 이 책은 우리 삶에서 비교대상이 없을 정도로 중요한 섭식 문제의 면면을 치밀하게 파고든다. 배고픔, 포만감, 갈증, 선호하는 음식, 충동 조절, 폭식증과 거식증, 과식과 비만, 음주, 당뇨병, 흡연 등 먹고 마시는 일로부터 질병까지 섭식과 관련한 주제들을 세세하게 다룬다. 이렇게 목차를 놓고 보면, 일생의 거의 모든 일이 섭식의 심리학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섭식의 심리학을 좀 알았다고 해서 뭐가 달라지냐는 반문이 있을 수 있다. 만약 내가 마음과 몸의 건강을 지키는 데에 적합한 섭식생활을 하고 싶지 않다면 뭐 굳이 읽지 않아도 될 책이다. 그러나 우리가 먹는 음식이 어느 정도는 우리 자신을 만드는 것이 사실(이 내용도 이 책에서 기술한다.)인 이상, 내 섭식 습관이 나의 어떤 심리와 연결되어 있는지를 아는 건 이후의 삶을 건강하게 만드는 일에 적잖은 도움이 된다. 나쁜 습관을 단번에 개선할 수는 없다고 해도, 점진적으로 내가 원하는 섭식 습관으로 나를 길들여갈 수 있지 않을까.
 본인의 섭식 습관에 대하여 심리학적으로 이해하고 싶거나, 아이들의 섭식 습관 혹은 가족의 섭식 습관을 돌아보고 싶은 독자들에게 추천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