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아이디어는 발견 이다
박영택 지음 /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 / 2019년 4월
평점 :
품절



 혹시 다른 사람도 이런 생각해 본적 있을까?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것이 창의력이 아니라는 것. 남이 보지 못한 것을 내가 보는 것이 창의력이라는 사실. 브레인스토밍은 실은 크게 효력이 있지 않다는 것. 보수(돈)는 간단한 문제를 해결할 때에는 동기부여가 되지만 창의력을 발휘해야 할 때는 어쩌면 장애물일 수 있다는 사실.

 

 나는 이런 생각을 못해보았다. 아마 그래서 이 책을 읽게 되었겠지. 저자 박영택은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길어 올리는 패턴이 있음을 발견하고, 이를 6가지 코드로 정리해서 강연했다. [결국, 아이디어는 발견이다]는 그 강연을 지면으로 옮겨 발간한 책이다.

 

 이 책의 좋은 점은 구성도, 내용도 너무나 간단하다는 점이다. 창의력을 계발한다든가, 획기적인 발상을 꺼낸다든가 하려면 뭔가 뇌 근육을 유연하게 만드는 준비라든지 여러 가지 남다른 관찰과 분석기법에 익숙해져야 할 것 같다. 그런데 이 책은 그렇게 이야기하지 않는다. 이전에 없었던 것, 그러면서 우리에게 지금 필요하고 유익한 것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창의발상의 패턴만 알면 된다.

 

제거 – 궁극의 정교함은 궁극의 단순함과 다름 없다. 핵심 혹은 비핵심 제거.
복제 – 요소를 복제하거나 비즈니스 형태를 복제하거나. 맞불을 놓아 산불을 잡듯 블랙 해커는 화이트 해커가 잡는다.
속성변경 – 외부 조건에 따른 속성 변경이나 시간에 따른 속성 변경 등
역전 – 위치, 내외, 순서, 이동, 관점 등 역전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역전시켜 보자.
용도통합 – 그릇까지 먹는 스프나 충전기가 되는 마우스패드 그리고 세제로 활용하는 과일스티커까지.
연결 – 꽃병으로 만든 미니 소화기, 만화천자문 등 생소한 것들을 연결해보기.

 

 저자는 이 여섯 가지 패턴을 각각을 주제로 본문을 쓰고 이를 활용한 창의로운 제품(혹은 사건이나 상황, 경우)을 제시하여 설명한다. 복잡하거나 어렵게 설명하는 부분은 없다. 독자는 지극히 현실적이고 지극히 단순하고 지극히 실물적인 창의적 발상의 세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책의 초입에 저자는 생텍쥐베리 같은 창의적 명사들의 말을 인용한다. 이를 기반으로 우리가 ‘창의성’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부담과 인지적 장벽을 부수기 위해서다. 결국 저자의 말대로 창의성이란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능력이 아니다. 눈앞에 있는 것에서 어떤 것을 빼거나, 다른 것을 결합시키는 것. 빼거나 결합시킬 것을 발견하는 능력을 다른 말로 아이디어라고 칭하는 것이 아닌지. 어쩌면 창의성이란 이토록 단순한 것일 수 있다. 이 책의 제목은 그런 점에서 창의성의 핵심을 관통하는 멋진 말이 아닌가 한다. 결국, 아이디어는 발견이다.

 


 창의성에 대한 이들의 공통된 생각은 “창의성이란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능력이 아니다”라는 것이다. 이들은 모두 “독창성이란 단지 사려 깊은 모방일 뿐이다”라는 계몽주의 작가 볼테르와 같은 생각을 갖고 있다.
 창의성이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이 예전에 없던 것, 무언가 독창적인 것, 전혀 새로운 것을 연상하기 때문에 창의성은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당신’처럼 느껴지는 것이다. 듣지도 보지도 생각지도 못했던 것, 전혀 새로운 것, 무언가 독창적인 것을 만들어내야 한다고 생각하니까 한 치 앞도 보이지 않는 것이다.
1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