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 3 : 세종·문종·단종 - 백성을 사랑한 사대부의 임금 조선왕조실록 3
이덕일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의 역사 속에서 이 왕을 빼 놓으면 과연 어떤 역사가 남을 것인가? 고려를 매듭 짓고 조선의 시대를 연 태종을 비롯하여 조선의 역사 속에서 강렬한 순간을 남긴 왕들은 많지만 그 중에 가장 널리 알려지고 가장 위대한 업적을 남긴 왕은 아마 세종이 아닐까 싶다. 실학을 중시하고 합리적인 정책과 방침 등 그가 남긴 유산은 매우 많지만 그 중 최고는 역시 훈민정음이겠다. 훈민정음을 창제했다는 것은 새로운 나라를 세운 것 이상으로 파격적이고 획기적인 일 아닌가. 새로운 세계, 눈으로 인지하는 세계를 초월하여 모든 백성들에게 새로운 정신 세계를 열어준 일이었다. 개인적으로는 한국의 역사는 물론 세계의 역사 속에서도 훈민정음 이상의 찬란한 유산은 없으리라고 생각한다.

 

 이미 세종을 주인공으로 다룬 영화, 소설, 뮤지컬, 드라마 등은 매우 다양하다. 더구나 매년 한글날만 되면 세종 혹은 훈민정음을 주제로 하는 다큐멘터리나 특집 프로그램 같은 것들이 각 방송사에서 얼마나 다양하게 쏟아져 나오는지. 아마 그래서 나는 세종을 잘 안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너무 유명하니까. 그리고 많은 문화 콘텐츠들이 세종의 여러 면모를 우리에게 보여주었으니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왕조실록은 알려주었다. 나는 여전히 세종에 대하여 모르는 것이 많다는 사실을.

 

 조선왕조실록을 읽으면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부분, 즉 내가 세종에 대하여 완전히 착각하고 있었던 것 중 하나가 ‘계급관’이었다. 나는 세종에게 계급관, 높은 사람은 본래 높은 출신이고 비천한 사람은 본래 비천한 출신이라는 인식이 없으리라고 은연 중에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조선왕조실록을 촘촘하게 연구하고 분석하여, 당대의 사회가 마치 내 눈앞에서 되살아나듯 펼쳐지도록 애쓴 저자의 노력에 힘입어 나는 세종이라는 왕이 본래 어떤 가치관을 지니고 있었는지를 바로 알게 되었다. 


 세종은 백성과 왕의 계급이 동일하다고 생각한 적이 한 번도 없다. 백성을 긍휼하게 그러니까 불쌍하게 여기는 연민은 있었으나 모두가 하늘 아래 사람이라는 면에서 같은 가치를 지닌다고는 생각한 적이 없는 것이다. 이 부분을 읽을 때 다소 충격적이었더랬지.

 

그러나 이렇게 새로 알게 된 세종의 그림자(지금 이 시대로 비춰보면 그림자이겠으나 과연 이전 시대에도 세종을 그리 보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래서 저자가 들어가는 글에서 모든 역사란 현대사라는 말을 인용하였겠지.)에도 불구하고, 세종은 여전히 능력 있는 명민한 왕이었다. 세법 개정을 비롯하여 그가 치리 중에 감행했던 여러 정치 업적들은 지금에 와서 다시 보아도 훌륭하다고 느껴진다.

 

 이덕일 님이 쓴 조선왕조실록3에는 세종, 문종, 단종 이렇게 삼 대의 왕들의 기록을 싣고 있다. 세종의 아우라가 너무 커서 사실 문종과 단종은 후식처럼 읽힌다. 단점이라고 해야 할지 장점이라고 해야 할지.

 

 어쨌든 이 책의 본문을 읽기 전에 꼭 저자의 들어가는 말을 읽어보길 바란다. 재미 혹은 흥미만을 충족시키는 역사 팩션이나 진실보다 허구가 더 많은 드라마나 영화 등에 심취하면 왜 위험한 역사관을 가지게 되는지, 진실로 촘촘하고 무게 있는 연구를 바탕으로 한 역사는 우리에게 어떤 유익함을 주는지, 저자의 머리말에 잘 나타나 있다.

 

 



"모든 역사는 현대사"라는 말이 있다. 긍정적인 부분이든 부정적인 부분이든 조선이 오늘날 우리의 의식과 행동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는 사실을 인정한다면, 조선의 역사는 우리가 선택할 또 다른 미래의 길을 고민하게 한다고 말할 수 있다. 역사를 통해 교훈을 얻지 않으면, 우리는 앞선 세대의 실패를 똑같이 되풀이할 수밖에 없다. "
저자의 들어가는 말 중에서 –1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