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차와 장미의 나날
모리 마리 지음, 이지수 옮김 / 다산책방 / 2018년 10월
평점 :
절판


 나만 아는 인간과 나를 아끼는 인간, 이 둘의 차이는 무엇일까?

 

 이 둘의 경계에 있는 사람이 아마 이 책의 저자 모리 마리씨가 아닐까 한다.

 

 나는 사실, 이 작가가 쓴 소설을 한 번도 읽어본 적이 없다. 그래서 [홍차와 장미의 나날]을 소설가가 쓴 요리와 미식의 삶에 대한 산문이라기 보다, 일본 어딘가에 살아가고 있는, 아주 유복하고 부유한 미각과 취향을 가진 아주머니의 글로 읽었다. 


 제목이 아주 호사스럽다. 홍차와 장미의 나날. 어느 수정 만화의 제목으로 써도 어울릴 법한 사치스럽고 야들야들한 소녀감성이다. 본문은 더욱 사치스럽다. 나는 도저히 맛도 상상이 가지 않는 요리들을 저자의 소개로 만나게 되었다. 청주와 된장에 생선을 재웠다가 쪄 먹는 요리라든가, 일본 황실 연회에서 나오는 단과자 같은 것들은 일생에 한 번은 먹어볼만 하겠구나 싶기도 했다. 어릴 적부터 화려한 미감味感의 세계를 살아온 저자이기에 오므라이스 계란이 케첩 벨트를 두르고 나오는 것에 참을 수 없는 분노를 발산하는 일이 이해가 된다.

 

 그런가하면 자기 자신을 충분히 가치 있게, 스스로 여기고 있는 태도는 대단히 흥미롭다. 책 어딘가에서 ‘얼굴은 미인이 되려다 말아서 미인의 이목구비를 일단 떼어낸 다음 커다란 숟가락 속에 비친듯한 형태의 얼굴위에 흩뿌려놓은 것처럼’ 생겼다고 본인을 이야기한다. 일단 적어도 스스로를 추녀라고는 절대 생각하거나 인식하지 않는 저 태도, 그러면서도 자기 자신의 결점을 정확히 인식하고 인정하는 쿨함. 아마 이것이 이 산문집의 매력이리라. 


 저자는 그동안 그가 살아온 인생 속의 수많은 맛을 천천히 음미하면서, 그것이 쓴 맛이든 신 맛이든 단 맛이든 섬세하고 세밀하게 그려낸다. 하지만 칭찬일색으로 혹은 과장과 치장으로 점철하지 않는다. 스스로를 육식동물이라 이르며 걸신들린 아이처럼 탐을 낸다고 쓰는 부분이나 자기만 아는 인생이라고 이야기하는 부분은 저자 본인이 여전히 어딘가 곤란하고 거슬리는 인간이라는 점을 솔직히 드러내고, 그러면서도 저자를 사랑해준 이들과의 추억에 서린 맛을 이야기하는 부분은 저자가 그 어떤 환경 속에서도 본인을 아끼는 사람으로 살아갈 수 있는 저력이 무엇인가를 보여준다.

 

 저자의 다소 유난스러운 취향과 아름다움에 대한 태도는 아마 그의 작품에 고스란히 발현되나보다. 저자는 [설국]의 가와바타 야스나리에 버금가는 관능미와 섬세함을 갖춘 작가로 소개하는 다른 작가들의 말에 솔깃하여 저자가 쓴 소설이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