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 보이 - 2018년 제14회 세계문학상 대상 수상작
박형근 지음 / 나무옆의자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택적으로 기억을 지우는 게 가능하다면?

내게 그런 기회가 주어진다면?

내 뇌 속도 이렇게 VR처럼 체험할 수 있다면?

외계인의 비밀을 지키는 대신 그가 내 소원을 들어준다면?

내가 하루아침에 국민스타가 되어버린다면?

 

수많은 ‘~~라면을 가정하게 만드는 라면소설이다.

주인공 김신에게 일어나는 갖가지 일들을 따라가노라면 만약 나라면, 내게 이랬다면, 내가 이런 상황이었다면, 하는 갖가지 라면을 끓이게 된다.

 

어디선가 많이 본 듯한 느낌의 표지는 다행스럽게도 작품의 색과 전혀 다르다.

참신하고 신선한 가정과 접근으로 읽는 게 즐거운 작품이다. 주인공은 일반인으로서 우주여행의 기회를 거머쥔 행운아. 사실 여기서부터 그는 행운아이자 잠재적 스타다. (조금 더 사실, 이란 고명을 얹자면, 제목을 스페이스 보이가 아니라 스페이스 아이돌이라고 해야 하지 않았을까 싶다.) 우주여행에서 뜻밖의 경험을 하고 지구로 돌아온 그를 기다린 건 스포트라이트 세례. 나름 준수한 인물과 비교적 독특한 언변을 가진 그는 몇 번의 인터뷰로 단번에 국민적 관심을 받고 탁월한 기획사를 만나 전 국민의 남자로 등극한다. 작품 속에서 그려지는 그의 셀럽 파워는 어마어마하다. (그래서 스페이스 아이돌이라는 생각이...) 그러나 그의 꽃길은 오래지 않는다. 그걸 그가 자초해야 했달까, 선택해야 했달까. 이 부분이 여전히 아리까리하다.

 

결말은 아주 담백하고 미묘하다. 탄산이 날아간 탄산수처럼(주의, 욕이 아님). 외계인과의 아름다운 대화로 작품은 끝. 그러나 작품이 끝난 후에도 작가의 센스는 남는다.

 

작가는 작가의 말에 으레 들어가야 하는 작가로서의 말이 아닌, 이 작품에 등장하는 여러 곡 그러니까 영화로 치면 OST 정도 일까?. 그 곡들을 리스트로 싣는 것으로 자신의 말을 대신했다. 세계문학상 대상까지 받은 작품인데 하고 싶은 말이 왜 없었을까. 그걸 담백하게 마감한 작가의 센스에 치얼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