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pan and Greater China: Political Economy and Military Power in the Asian Century, Greg Austin and Stuart Harris. London: Hurst & Company, 2001.

By John W. Garver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The China Quarterly, Jan., 2004, pp187., Translated by Park Jongchol (May, 2005).

 

책은 중일관계의 포괄적, 공평한, 예리한 분석

그리고 연구는 중국인연구자나 비중국인학자의 기존의 연구에 기초하지만, 분야의 선행연구를 뛰어넘었다. 저자는 파괴자로서가 아니라, 진실하고 좀더 논쟁이 빛을 발휘하도록 다른 학자의 의해 발전한 아이디어를 많이 인용

중일의 상호작용에 초점, 그러나 중일간의 대만문제에 대한 논문과 홍콩반환에 대한 일본의 정책에 대한 고려는 대중국이라는 제목으로 합리화

상호이익, 그리고 경제영역과 전략영역의 일치에 대한 증명하지만, 책은 중일관계의 한정적인 작업으로서 위치한다.

 두 저자는 중일간의 다중적 분열을 정의하고 추적: 30-40년대의 전쟁의 기원과 상징성을 넘어서는 차이; 인권과 민주주의을 넘어서는 차이; 중국 군사력의 건설; 핵실험과 비확산 이슈; 지역의 지렛대로서 일본의 대중 개발원조의 사용을 넘어서는 차이.

 이 책는 다음을 연구

1, 아시아태평야지역에 군사적 영향을 포함한 거대한 영향력을 추구하는 일본에 대한 중국의 불쾌함, 2, 일본의 중국에 대한 마지못한 최선진 공업기술의 이전, 3, 일본의 대만에 대한 규준에 벗어나는 정책

아시아에서 중일간의 경쟁은 1, 중국이 권력을 확장하고, 2, 일본이 국제 규범의 확장을 추구함으로 증가.

그러나 저자들은 아시아에서 리더쉽과 지배을 위한 중일의 경쟁 모델을 거부, 그리고 강하게 억제된 세력의 행동과 결합된 이익의 광범한 집중(converge)은 중일관계를 대립보다 협력으로 유도

세계질서와 관련된 증가하는 집중에 관한 실례

1949-1971, 동경과 북경은 동서진영의 다른 편

1971년의 변화이후에도 중국은 글로벌 시장 경제를 거부

1978년부터 북경이 글로벌 경제를 받아들이면서 현상유지가 광범하게 손상됨으로써,

특정하게 병렬된 이익을 변형, 1. 병참조직의 해양경계에 대한 안보, 2, 홍콩의 인민공화국으로의 안정적인 반환, 3, 한반도와 같이 민감한 지역의 평화의 지속

 

 

 

 

 

저자는 아시아에서 중국과 일본의 영향력의 팽창은 상호협조관계를 지속시킨다고

아시아의  다른 국가는 두 개의 대국과의 좋은 관계를 희망하고, 중일의 충돌을 바라지 않는다..

두 대국의 어느 쪽의 움직이든지, 아시아의 소국들이 따라가는 것을 주저하게 만든다.

다른 한편으로는, 지역 화해에서 (소국들에게) 인지된 (양국의) 노력은 지역 명성을 확보하게 한다.

아시아에서 미국의 존재는 중일경쟁을 견제(완화) 동경과 북경은

동경은 기본적으로 미국의 지역 리더쉽에 편안함을 느끼지만, 북경은 미국의 역할을 기본적으로 거부하고, 실제적으로 미국이 없다면 일본은 좀 더 강건한 군사적 능력을 보유하려 할 것이다.

 

 

대만문제는 중일 분쟁으로 가는 남겨진 이슈, 그러나 북경조자도 위안을 위한 공간을 있다. 초기 몇 십 동안, 중국의 지도자는 역사적인 의미에서 경제적,문화적 일본의 세력범위로 포함되는 것을 우려

(Garver의 의견) 경제적으로 대만은 (일본이 아니라) 중국과 통합되고 있고, 문화적으로 대만인들은 중화세계에도 서양세계에도 속해있지 않다고 본다. 일본은 문화적 정신적 정체성으로서 대다수의 대만인에게 인지되지 않고 있다. 일본 정체성이 있는 대만인은 대부분은 구세대이고, 그들은 역사속으로 사라지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