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초은하단과 행성 > 하이퍼파워의 선택은

내용과 처방에 대한 일단의 이성적 거부에도 불구하고 거대한 체스판을 통해 브레진스키는 제국경영자 세계전략가로서의 탁월한 분석과 안목을 과시했으며 이는 많은 이들의 경탄을 자아냈다. 물론 현시점에서 돌이켜 보면 거대한 체스판에서의 예상이 실제 역사적 진행과 궤를 달리하고 있는 것도 눈에 띄는 등 여러 문제점이 노정된 것은 사실이다.


이 책 제국의 선택서도 탁월한 이데올로그로서의 저자의 역량은 유감없이 발휘되고 있긴 하지만 일부 무리한 추측을 동원하는 등 석연치 않은 면이 여럿 눈에 뜨이는 것을 비롯해 분석과 전망의 질적 측면에서 거대한 체스판보다는 다소 중량감이 떨어진다는 게 솔직한 느낌이다.


그리고 이 책은 네오콘류의 강경 지식인들의 저작과 비교한다면 보다 이성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저술 목적 자체가 미국의 외교 전략에 기여코자 함이므로 그의 주장은 미국의 패권적 지위 유지가 세계를 위해서도 바람직한 것이고 또한 세계의 안보는 미국의 안보를 위해서라도 중요한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한다는 등 철저히 미국중심적인 시각을 근저에 깔고 있다. 이런 연유로 이 책이 마뜩치 않게 다가올 사람들이 적지 않을 것이다.

또한 강경파들의 사고와 비교해 보아도 어디까지나 미국패권 내지는 대서양동맹 패권의 공고화라는 목적은 일치하는 가운데(물론 강경파들은 유럽을 배제한 미국만의 패권을 보다 옹호한다) 전술적 방법론의 차이만 보이고 있는 수준이며 미국정책에 대한 비판이라는 것도 어디까지나 헤게모니 유지를 위한 차원에서의 접근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에, 번역하면서 특정 부분의 경우 마치 촘스키의 책을 번역하는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는 역자의 견해는 언뜻 이해가 쉽지 않다 (물론 보는 관점에 따라 그렇게 읽힐 가능성이 있다는 건 인정한다).


그럼에도 불구 이 책은 읽을 가치가 충분한 우수한 서적임엔 틀림없다. 최고전략가의 시각을 통해 미국과 세계의 미래를 전망하고 패권국과 주요 세력들의 위세와 그들이 취할 지정전략을 살펴 보면서 자신들의 대응방안 강구라는 현실적 이익을 취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미국이 실지로 브레진스키의 처방을 그대로 따르지 않는다든가 국제정세가 그의 예측과는 상당히 다른 방향으로 변화할 것이라는 지레짐작은 비록 높은 개연성에도 불구하고 사치일 수 있다.


일정의 갈등에도 불구 동맹으로서의 유럽의 중요성과 미국과 함께 행동했을 때의 효과와 이익, 미일동맹을 기반으로 불안정한 아시아에서의 세력균형 유지, 지구적 발칸에서의 폭발과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전술 등 저자의 세계경영능력은 여전히 발군이다. 또한 변화한 국제환경과 안보의 개념 그리고 이에 대한 불철저한 인식에 기초한 현 미국 행정부의 행동과 이것이 초래할 문제점, 세계화의 적절한 관리방안 등을 통해 미국이 지배자가 아닌 리더가 되어야 한다는 논지로의 귀결도 압권이다. 


그러나 책을 읽는 내내 못내 답답했던 것은 저자도 인정하고 있듯이 미국의 우월적 헤게모니가 언젠가는 소멸하겠지만 그 시기의 도래가 아직 아득하게만 느껴지는 현시점에서, 지배가 아닌 유연하고 부드러운 미국의 리더십만이 보다 나은 세계건설과 전 지구적 안보를 보장할 거의 유일한 대안일 수밖에 없는가 하는 점이었다. 과거 미국이 했던 행동들 그리고 현재 미국이 취하고 있는 행위들을 보면 미국이 과연 세계에 빛을 비추는 지도자로서의 자질이 있는가라는 너무나 당연한 의심을 가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미국 주도하의 관심을 공유하는 전 지구적 공동체에 의한 전 인류 이익의 증진이라는 것은 세계정부만큼이나 비현실적으로 느껴질 뿐이다. 그런 연유로 미국의 헤게모니가 당분간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저자의 예측도 그리 호의적으로 수용할 수 없음은 인지상정이다.


정말 저자가 말하는 것처럼 반미주의는 단지 배반된 애정의 표현일 뿐이고 그래서 미국이 편협한 자국의 이익 대신 전지구적 공영에 매진한다면 자연스런 리더십수용이 이루어질 수 있을까. 그런데 정말로 미국은 그런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까.

그럴 가능성이 보이지 않는다면 점점 제멋대로인 유일초강대국을 적절히 제어하며 보다 나은 지구의 건설은 어떤 방법을 통해서 가능할 수 있을까. 어렵기만 한 이 질문들을 새로운 숙제로 떠안을 수밖에 없다는 점이 못내 아쉽다.

덧붙여 국경의 제거 내지는 무력화가 주요 화두인 세상에서 국가간 역학관계가 언제까지 세계전략의 최핵심요인으로 군림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의문을 품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