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주의는 허구다 - 21세기에 능력주의는 어떻게 오작동되고 있는가
스티븐 J. 맥나미.로버트 K. 밀러 주니어 지음, 김현정 옮김 / 사이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5년 대한민국에서 화제가 되었던 키워드 중 하나는 단연 금수저, 흙수저로 대표되는 수저계급론이 아닌가 싶다. 수저계급론은 어떤 집안에서 태어났느냐에 따라 계급이 결정되며, 한 번 정해진 계급은 어떠한 노오력으로도 바꾸기가 힘들다는 것을 내포한다. 사람들은 수저계급론을 자조적이고 체념하듯이 내뱉곤 했지만, 한편으로는 책의 제목처럼 능력주의는 허구라는 걸 금수저, 흙수저’라는 단어로 드러낸 것은 아닐까.

 

능력주의에 대한 환상은 강력하다. 사람들은 성공과 실패의 원인을 손쉽게 개인의 능력 탓으로 돌리곤 한다. 대입수학능력시험이나 각종 고시를 비롯한 시험 성적, 학력, 취업, 연봉 등에서부터 심지어 외모나 부정부패까지도 능력으로 취급할 정도다. 그리고 '능력 있는 사람'이 많은 것을 가져가고 누리는 걸 너무도 당연하게 여긴다. 과연 이 모든 것들이 개인의 능력에 좌우되는 것인가? 그리고 '능력 있는 사람'이 많은 것을 가지는 게 당연한가?

 

책의 두 저자는 능력주의 신화를 요모조모 분석하는데, 핵심은 능력적 요인과 비능력적 요인 중 전자는 과대평가된 반면 후자는 과소평가되거나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능력주의는 허구'라는 것. 구체적으로는 학교와 교육은 불평등을 대물림하는 잔인한 매개체’(2)이며, ‘무엇을 아는가가 아니라, 누구를 아는가가 중요하다’(3)는 점, 상속은 능력마저도 이겨버리는 최고의 비능력적 메커니즘’(4)이고 아무리 능력이 뛰어나도 어찌 해볼 도리가 없는 불가항력적 요인들’(5)이 있으며, ‘능력을 가졌다고 모두가 똑같이 성공하는 건 아니’(6)라는 것, 그리고 더 이상 자영업에서 자수성가형 인물은 나올 수 없’(7)고 차별은 능력주의를 왜곡시키는 첫 단추’(8)라고 말한다.(놀랍게도 책의 목차만 차근히 읽어도 책 내용을 70% 이상 알 수 있다.)

 

저자들의 분석과 주장을 따라가다 보면 가슴이 답답해지면서 그래서 어떻게 해야 된다는 걸까라는 생각이 절로 드는데, 그 결론이 좀 더 공정한 사회로 만들려면 () 반드시 정책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그것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권력자들의 강인한 의지가 필요하다.”(39)는 것이라니 온몸에 힘이 빠진다. 너무나도 교과서 같은 대답에 깜짝 놀랄 정도다. 내가 너무 많은 것을 기대한 건가.

 

생각해볼 것은, 저자들이 능력주의는 허구다라고 말하면서도 공정하고 평등한 사회를 위해서 능력주의가 제대로 실현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하자고 주장한다는 점이다. 각자의 능력과 노력에 따라 분배가 이뤄지는 것이 과연 공정하고 평등한 방법일까? 저자들이 지적한 것처럼 시대적, 장소적 배경에 따라 선호되는 능력이 다르다는 점에서 능력주의 또한 운이 아닌가. 그리고 능력이라는 것을 어떻게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인지도 의문이다. 물론 저자들은 개인이 어찌 손쓸 수 없는요소들을 최대한 걷어내고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기회를 공평하게 가져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지만, 그것만이 공정한 사회를 만드는 최선의 방법인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구심이 든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딩 2016-01-08 13:4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능력주의`는 그저 `기득권의 대 물림`, `비열한 경쟁`을 좋게 포장한 것처럼 보이는 것 같아요 ㅠㅠ
변혁을 가장 쉽게 할 수 있는 기득권은 그변혁을 당연히 할 이유가 없는 것 같고...
그저 능력주의는 그들에 의한 포장지다 정도로 생각하는 것으로 위안해봅니다 ㅠㅠ

cobomi 2016-01-08 14:03   좋아요 2 | URL
공감이 되네요. 문제는 기득권이 없는 사람들도 능력주의를 당연하게 받아들이는데 있는것 같아요.

마페 2016-01-10 10: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공감합니다.
고율의 상속세, 1%대의 재산세, 뭐 이런 제도적 뒷 받침이 없는 능력주의는 지금 자본주의 문제를 더 심화시키는 것 같아요.
능력주의가 자본주의 엔진이었는데 이제는 무조건 계속 사용할 수는 없다는 의견이 많은 것 같아요.

cobomi 2016-01-13 02:42   좋아요 0 | URL
맞아요. 책에도 나오는 내용인데, 상속과 능력주의는 양립할 수 없다는 거였죠. 그런 점에서 능력주의가 허구라고요. 능력주의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면, 마페님 말씀처럼 제도적 뒷받침이 반드시 필요해 보입니다.

머슴둘레 2016-01-12 22: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능력주의가 허구라는 것은 개인주의(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신분을 후천적으로 바꾸기 힘들다는 것을 말합니다. 금수저-흙수저론의 비극은 빈부격차가 아니라 대물림된다는 것에 그 현실적인 의의가 있습니다. 아무리 노력을 해도 대물림되는 특혜와 권좌를 바꿀 수 없다는 말이겠지요. 그러나 노동자계급의 역사적 관점에서 본다면 노동자들이 자기 계급의 당을 중심으로 단결투쟁한다면 특혜와 권좌는 설 자리를 잃고 맙니다. 반쪽짜리 세계사 역사관에 파묻혀 자기 자신과 자기 계급의 역사를 창조하는, 노동계급의 위대한 역할을 부인한다면 대물림되는 흙수저가 되고 맙니다. 단결투쟁!!

cobomi 2016-01-13 02:56   좋아요 0 | URL
수저계급론의 비극이 `대물림`에 있다는 의견에 공감합니다.
하지만 현대의 계급이란 게 꼭 `자본가-노동자`로 나뉘는 것인가에 대해서는 의문입니다. 저는 꼭 그렇지는 않다고 생각해요. 그보다는 오히려 `권력`을 중심으로 계급이 설정되는 게 아닐까요. 성별, 지역, 성적 취향, 국적 등도 계급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차별이 대물림되니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