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들은 다른 장소를 살아간다 - 장소 페미니즘프레임 1
류은숙 지음 / 낮은산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구구절절 공감이 되는 내용의 이야기들이다. 부엌에서, 교실에서, 화장실에서, 광장에서, 장례식장에서, 헬스장에서, 회의장에서 여성들이 겪는 수모와 불편함이 왜 정치의 의제가 되지 않는가. 

류은숙님의 아무튼 피트니스를 읽으면서 이 분의 다른 책도 꼭 읽어보고 싶다고 생각한 차에 도서관에서 발견하고 바로 빌렸다. 이 분이 열어주신 논의를 시작으로 모든 여성들이 자신이 존재하는 모든 공간에서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고 있는지 말하는 장이 열렸으면 좋겠다.

말하는 것의 중요성을 일찍이 알고 모든 사회를 회의장으로 만들어 온 것이 여성운동의 역사이다. 여성참정권 운동가 중에 노동 계급 출신이었던 모자 제조공 해나 미첼이 있다. 미첼은 노동운동에서 시작해 여성참정권 운동에 이르게 됐는데, 그 이유를 이렇게 말했다. 우리가 투표권을 가지고 있지 못하면, 겨우겨우 먹고살기 위해서 할 수밖에 없는 힘들고 고된 일을 하는 삶이 어떤 것인지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을 것이다." 미첼에게 투표권은 ‘말할 권리‘이고. 경제 부정의도 성적 불평등도 말에서 시작된다는 걸 뜻한다. - P199

투표권에 머물지 않고 계속 말해 온 여성이 원하는 것은 의사 결정 권력이다. 단순히 배분의 몫을 늘려 달라는 요구를 하고 있는 게 아니라, 배분 자체를 결정하는 권력을 원한다는 것이다. 성차를 차별로 해석해온 틀을 바꾸는 힘, 여성을 의사 결정 과정에서 배제하고 여성의 중요한 문제들을 비정치적인 영역으로 다뤄 온 가치와 규범에 개입할 힘을 원한다. 회의장은 그 힘을 드러내고 행사하는 장이다. - P19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