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미아로 산다는 것 - 워킹푸어의 시대, 우리가 짓고 싶은 세계
박노자 지음 / 한겨레출판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거의 20년전에 내신 저작 "당신들의 대한민국"에서 보여준 날카로운 한국 비평이 전혀 녹슬지 않음을 보여주는 에세이다. 이 분처럼 성실하고 공부하고 올곧게 비판하시는 분이 계셔서 다행이란 생각도 들고, 왜 이렇게 사회가 나아지지 않는 것인가 답답하기도 했다. 

방대한 역사적 지식과 여러 문화권의 언어를 습득하여 구사하는 빼어난 문장력은 모든 글에서 빛난다. 이 분이 시각을 통해 한국 사회를 보는 것은 마치 내 두뇌에 엄청나게 성능 좋은 컴퓨터를 머리에 달고 판단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탐욕과 분노 그리고 어리석음이 인간의 번뇌를 키우고 해탈의 순간을 늦춘다는 거죠

서유럽 내지 북유럽 사회에서 뭔가를 배우고 싶은 욕망과 동시에 열등감 같은 것을 느끼고는 저들의 시선을 의식해서라도 무엇이든 모범적으로 잘하고 싶다는 욕망을 갖는 것도 아마 재유럽 러시아인과 한국인의 공통점일 겁니다.

소비 자본주의는 일종의 ‘기생 체제‘입니다. 쉽게 중독에 빠지는 인간의 태생적인 약점에, 자본주의가 기생하고 있는 것이니까요. 이 기생충이 불러일으키고 이용하는 중독들은 과연 그 숙주인 인류를 또 무슨 파국으로 이끌어갈까요?

사회의 과제는 구성원이 어릴 때부터 나쁘지 않은 도취의 방법을 알려주는 것입니다. 예컨대 독서삼매의 유쾌함을 일찌감치 학교교육에서 보여준다든가, 사랑과 섹스가 마음과 몸에 얼마나 좋은지 일찌감치 성교육 과정에서 가르친다든가 하는 방식으로 말입니다.

어떤 자본주의 사회에서든 학교는 더 이상 사람을 ‘키우지‘ 않습니다. 학교는 사회생활에 필요한 지식을 전달하고 미래의 노동자에게 기초 교율 등을 가르칠 뿐이죠

열공에 ‘올인‘하는 사회의 문제점들은 뭘까요? 가장 널리 알려지고 많이 토론되는 문제는 ‘열공‘ 밑에 깔려 있는 단선적 신분 상승 열망입니다. 단순히 ‘재미있어서‘ 열심히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시험을 통해 ‘더 높은 곳‘으로 올라가기 위해 죽도록 ‘노오오력‘하는 것이죠. 이렇게 낮고 높은 서열이 한국에서는 완벽하게 단선적입니다.

한국 사회는 유사 강간인 성 구매에 들일 금전적 여유는 있을 수 있어도, 정상적인 연애나 성생활을 유지할 만한 여유는 결단코 주지 않는 사회입니다.

페미들에 대한 혐오 하나로 자한당(현 국민의힘)에 투표하려는 한국의 젊은 중하위층 남성들도 마찬가지 입니다. 그들은 ‘xx 달린 사나이‘로서의 특권, 다시 말해 페니스 하나가 여태까지 한국 사회에서 보장해주었던 특권의 잠재적 상실을 더욱 두려워하는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