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사랑하고 쓰고 파괴하다 - 청춘을 매혹시킨 열 명의 여성 작가들
이화경 지음 / 행성B(행성비)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신의 삶에 닥친 시련과 분노를 공부하고 글로 남긴 여성들의 삶이 파노라마처럼 이어진다. 짤막한 위인전을 읽는 느낌이다. 이 여성들이 가진 고뇌와 슬픔, 막막한 상황이 잘 전달된다. 이름만 들어도 누군지 아는 유명한 사람들이라서 이 사람들의 저자를 본격적으로 읽기전에 워밍업으로 읽으면 아주 좋을것 같다.

넘을 수 없을 것 같은 벽 앞에서 두려울 때마다, "이제 나는 아무것도 두렵지 않다"고 했던 로자 룩셈부르크의 말에서 힘을 얻었다. 글쓰기의 고단함과 일상의 노동이 섞이면서 체력과 창의성이 고갈되는 걸 느낄 때, ‘집 안의 천사‘부터 죽이라던 버지니아 울프의 독기 어린 질책으로 버텼다. 의지가 약해 주저앉고 싶을 때, "일어서서 걸으라. 네 뼈는 결코 부러지지 않았으니"라고 부추겨주던 잉게보르크 바흐만의 격려를 목발 삼아 걸었다. 남들의 시선에 상처받을 시간에 사랑하는 이들과 ‘서둘러‘ 사랑하고 어제보다 오늘을 ‘더‘ 사랑하는 데 정력을 바쳤던 조르주 상드를 보면서 웃을 수 있었다.

가면이 곧 얼굴이라는 손택의 발언은 위악적인 것이 아니다. 외모를 갈고닦고 윤내고 기름칠해서 세상에 번지르르하게 내보이자는 천박한 문구도 아니다. 인간의 스타일과 이미지는 대단히 유물론적이라는 것, 겉모양새를 밑천으로 깔지 않고서는 궁극적으로 이해와 소통이 불가능한 인간 관계의 비극적인 현상학에 대해 말하고 있는 것이다. 경계해야 할 것은 스타일 자체가 아니라 스타일의 획일성인 것이다.

최종 해결책이라는 우회적 표현은 실제로 사람을 죽여야 하는 현실에 대한 감각을 마비시키려는 나치스의 술책이었다. 나치스의 구호와 관용구는 현실을 차단하고 사유를 불필요하게 만드는 언어였다.

이데올로기적 맹신이나 악독한 동기가 한 인간을 악마로 만들기도 하지만, 아무 생각 없음, 즉 무사유야말로 악마적인 심연에 쉽게 빠져들게 하는 것임을 한나 아렌트는 통찰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