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여자들의 사회 - 말해지지 않은 무궁무진한 여자들의 관계에 대하여
권김현영 지음 / 휴머니스트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의 대중문화 컨텐츠를 하나도 따라잡고 있지 못하는 나로서는 본 프로그램이 거의 없었다. "고양이를 부탁해" 정도일까. 그것도 거의 15년전이라 가물가물한다. 스우파는 독서 모임을 하던 분에게 추천을 받았지만 아직 찾아보지 않았다. (귀차니즘...)

그렇다 하더라도 권김현영님이 쓰신 이 모든 비평은 너무나 재밌게 읽었다. 여성들의 이야기가 더 많이 나왔으면 한다.

남성들의 동성 사회성에서 동성 성애적 가능성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면, 여성 동성 사회는 남성 동성 사회보다 상대적으로 덜 이분법적이다. 남성들 간의 동성 사회성은 동성애와의 구분을 위해 호모포비아를 공공연하게 드러내고 이 과정에서 여성을 성애적 대상으로서 소환하는 여성 혀오를 일상의 남성 문화로 소환하는 데 비해, 여성 동성 사회에서는 여성들이 서로에게 관심을 기울이는 다양한 방식이 모녀 관계, 자매애, 여성들의 우정, 네트 워킹, 페미니스트 동지애 등 더 넓은 스펙트럼으로 펼쳐진다.

우리는 서로 닮았거나 같기 때문이 아니라, 서로 이렇게 다르지만 동등하게 다르다는 걸 알고 있는 전제에서 우정을 맺는다.

베벌리 버치에 따르면 성적 지향은 생물학적 기질, 생활사의 국면, 역사적 풍조, 의학적 규정과 집단의 규범, 사람과 사건들의 영향과 반응에 따라 정해지고 또 변화한다.

이브 코소프스키 세즈윅은 ‘동성 사회적 욕망‘에 대한 설명에서 라이벌 관계에 있는 남성들끼리의 유대감은 대상 여성에 대한 욕망보다 더 깊고 강하며, 이때 여성은 동등한 존재가 아니라 남성들의 (상호 모방과 경쟁과 같은 형태로 드러나는) 유대를 위한 매개자 역할을 한다고 분석한다.

벡델 테스트의 기준은 세가지다. 이름을 가진 여자가 두 명 이상 나올 것, 이들이 서로 대화할 것, 이 대화 내용이 남자에 대한 얘기가 아닐 것

현역 아이돌이 거식증, 공황 장애, 불안 장애, 우울증, 강박 등을 고백하며 활동 중단을 해도 별다른 화제가 되지 않고 지나간다. 이 무심함 자체가 메시지가 된다. 대중의 관심을 갈망하는 이들은 자신의 감정을 적절한 방식으로 통제해야만 생존할 수 있다는 것을 바로 이 무반응을 통해 배운다.

여성주의 심리학자 미리암 그린스팬은 <감정 공부>에서 우리가 부정적인 감정의 에너지를 신뢰하지 못할 때 그 에너지를 억제하고 조종하는 것을 최선의 방법으로 생각하곤 하는데, 이러한 감정의 억제는 바로 남성적 기준을 각인시키는 방식이라고 분석한다. 결국은 여자답게 행동하라는 명령이고, 남자처럼 굴지 말라는 강요하는 것이다.

여자가 여자로서의 주어진 역할을 벗어나려고 하면, 남성을 따라 하려고 한다는 식으로 읽는 건 너무나 게으른 분석이다

나는 "자매애는 있다"라는 말을 믿지 않는다. 억압받은 자들의 본능은 저항하는 것이 아니라 순응하는 데 있다. 저항은 아주 드물게 이루어지며 그래서 놀라운 것이다. 자매에는 그냥 생기지 않는다. 여자들이 집단을 이루고, 위아래에 다양한 위치에 포진해 있어야 서로 욕망하고 반목하다가도 저항하고 연대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