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그것은 사랑이 아니다
로빈 스턴 지음, 신준영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량한 유형의 가해자는 피해자에게 자신이 그녀의 방식대로 일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사실은 자신의 방식대로 일을 처리한다. 그리고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서 그녀에게 해줄 수 있는 모든 것을 해주었다고 말한다. 그래서 그녀가 더 이상 바라는 것은 무리라고 생각하게 만든다. 그 결과 피해자들은 외롭고, 혼란스럽고, 실망스러운 느낌을 갖게 된다. 하지만 피해자들은 그 이유를 설명할 수가 없다. 또 피해자들이 상대방의 행동에 이의를 제기하면 가해자들은 감정을 폭발시킨다. 가해자는 고함을 칠 수도 있고, 피해자들을 떠나겠다고 위협할 수도 있으며 비난을 퍼부을 수도 있다. 그러고 나서 사과를 하거나 선물을 안겨주면 피해자들은 더욱 참담한 기분이 된다. 어떤 경우에도 피해자들의 기분은 고려되지 않는다. 하지만 언제나 피해자들은 자신들이 배려를 받는다고 믿을 것을 강요당한다. 그것은 외롭고 실망스러운 상황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이 오래 지속되면 우울증으로 발전한다.

어떤 경우든, 헤어진다거나 거리를 둔다는 생각은 가스라이팅보다도 더 고통스럽고 끔찍하게 여겨지는 고독이라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래서 피해자들은 가해자와의 관계가 얼마나 불쾌하고 불만족스러운갈ㄹ 직시하기보다, 가해자를 이상화하고 그와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한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건전한 일을 한다면 단순하고 간단하게 행복을 발견할 거라는 믿음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진실은 더 복잡하다. 가장 건전한 결정조차도 슬픔과 비판 그리고 두려움을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두려움에 당당히 맞서고 현명하게 선택한다면, 마지막에는 그 결정에 감사하게 될 것이다.

멜라니에게는 남편을 대할 때 감정에 치우치지 않는 솔직함이 필요했다. 그녀는 비난이 얼마나 공정하지 못하고, 비이성적이며, 깊은 상처를 주는지 알 필요가 있었다. 또한 자신이 얼마나 불행한지, 얼마나 마음이 어수선하고 혼란스럽고 좌절감을 느끼는지 알아야 했다. 그리고 그것이 자신의 결혼 생활이라는 것을 인정할 필요가 있었다 그녀의 결혼 생활은 상담 치료를 통해 회복할 수 있는 이상적인 천국이 아니었다. 실제로 문제가 있고 우울한 3단계의 상황이었다. 남편과이 관계가 나아질 수도 있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었다. 하지만 멜라니가 진실과 맞서기 전에는 아무것도 개선될 수 없었다.

많은 피해자들은 가해자와 자신들에 대한 환상 때문에 관계를 유지한다. 피해자들은 가해자를 영혼의 반려자로 본다. 인생 최고의 사랑인 그가 없이는 살 수 없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또는 ‘영원한 친구‘라는 낭만적 개념과 오랫동안 지속돼온 우정에 대한 소중한 기억을 갖고 있다. ...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지만, 그런 환상은 문제가 있는 관계에서 더 강한 힘을 발휘한다.

보통 의식하지 못하지만, 문제 있는 관계를 유지하기로 결정한 사람들은 모든 것을 참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문제를 해결할 힘이 있다고 생각한다.

멜라니는 자신이 친절하고 성숙한 사람이라 믿었다. 혼자서라도 모든 것을 포용하는 사랑으로 행복한 결혼 생활을 만들 수 있다고 믿고 싶었다. 남편이 아무리 형편없이 행동해도 그녀는 결혼 생활을 행복하게 만들기 위해 충분히 사랑할 수 있었고, 또 그렇게 할 것이다. 결혼 생활이 얼마나 불행한가를 직시하는 일은 자신의 이상적인 모습을 포기하는 일이었다. 그것은 단지 사랑의 힘만으로는 남편의 행동을 극복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을 의미했다. 마찬가지로 질은 스스로 매우 강하고 재능 있는 사람이라 믿고 싶었다. 그래서 어떤 상사도 자신을 굴복시킬 수 없다고 생각했다. 가장 힘든 상황에 빠져 있을 때조차 일을 잘할 수 있다고 믿었다. 오로지 자신의 능력만으로 형편없는 업무를 훌륭한 과업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그녀가 얼마나 뛰어난지에 대해 상사가 관심이 없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은 바로 자아를 포기하는 것처럼 여겨졌다.

이런 것들이 환상의 힘이다. 피해자들은 일을 옳게 처리하기만 하면 어떤 힘든 상황도 바꿀 수 있다는 식으로 자신에 대한 환상을 만들어왔다. 가해자들에 대한 기대를 포기하고 다음 단계를 밟기 보다는, 그들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한다. 그리고 자신의 노력이 실패로 돌아갔을 때는 자신은 강하기 때문에 그가 형편없이 행동해도 상관없다고 스스로 다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